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일부를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현지시간) 국방 당국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는 현재 한국에 주둔한 미군 약 2만8500명 가운데 4500명가량을 미국 영토인 괌을 비롯해 인도태평양 내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WSJ가 접촉한 당국자들은 비공식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대북 정책 구상 중 하나로, 아직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되진 않았다고 밝혔다. 미 국방부는 이와 관련, "발표할 것이 없다"고 밝혔다.
보도 내용이 사실과 다를 경우 곧바로 오보라고 반박했던 기존 태도와는 사뭇 다른 반응이다. 주한미군 일부 철수 방안이 실제 검토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WSJ는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철수를 진지하게 고려할 경우 한국과 일본, 필리핀 등 인도태평양 국가들의 안보 불안이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반도를 관할하는 인도태평양사령부의 새무얼 퍼파로 사령관과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도 지난달 10일 미 의회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주한미군 감축에 우려를 표했다. 브런스 사령관은 당시 청문회에서 "(주한미군의 존재 이유는) 동해에서 러시아에, 서해에서 중국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힘을 유지하고 북한에 대한 억지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한반도에서 빼내는 병력을 괌 등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배경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괌의 경우 한반도와 남중국해 등 분쟁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과 가까우면서도 중국군이 닿기 어려워 병력을 배치할 중요 전략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WSJ은 분석했다.
주한미군 감축 문제는 미국 국방부가 수립하는 국방 전략과 맞물려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은 지난 2일 국방전략 가이드라인으로 미국 본토 방어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억제, 동맹국의 비용 분담 확대를 우선하겠다고 밝혔다.
국방 당국자들은 다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배와 트럼프 행정부의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 여부가 더 명확해지기 전까지는 주한미군 병력 이전 등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것이라고 WSJ에 밝혔다.
머니투데이
WSJ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는 현재 한국에 주둔한 미군 약 2만8500명 가운데 4500명가량을 미국 영토인 괌을 비롯해 인도태평양 내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WSJ가 접촉한 당국자들은 비공식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대북 정책 구상 중 하나로, 아직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되진 않았다고 밝혔다. 미 국방부는 이와 관련, "발표할 것이 없다"고 밝혔다.
보도 내용이 사실과 다를 경우 곧바로 오보라고 반박했던 기존 태도와는 사뭇 다른 반응이다. 주한미군 일부 철수 방안이 실제 검토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WSJ는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철수를 진지하게 고려할 경우 한국과 일본, 필리핀 등 인도태평양 국가들의 안보 불안이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반도를 관할하는 인도태평양사령부의 새무얼 퍼파로 사령관과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도 지난달 10일 미 의회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주한미군 감축에 우려를 표했다. 브런스 사령관은 당시 청문회에서 "(주한미군의 존재 이유는) 동해에서 러시아에, 서해에서 중국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힘을 유지하고 북한에 대한 억지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한반도에서 빼내는 병력을 괌 등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배경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괌의 경우 한반도와 남중국해 등 분쟁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과 가까우면서도 중국군이 닿기 어려워 병력을 배치할 중요 전략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WSJ은 분석했다.
주한미군 감축 문제는 미국 국방부가 수립하는 국방 전략과 맞물려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은 지난 2일 국방전략 가이드라인으로 미국 본토 방어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억제, 동맹국의 비용 분담 확대를 우선하겠다고 밝혔다.
국방 당국자들은 다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배와 트럼프 행정부의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 여부가 더 명확해지기 전까지는 주한미군 병력 이전 등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것이라고 WSJ에 밝혔다.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