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지지율이 최근 일부 여론조사에서 상승세를 보이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격차가 10%포인트(p) 안팎으로 줄었다. 지지율 격차가 한 자리 수로 좁혀질 경우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와의 단일화 논의가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러나 김문수 후보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는 것이 지지율 추가 상승을 가로막고 있단 분석이 나온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길리서치가 글로벌이코노믹 의뢰로 지난 11~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5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3일 발표한 차기 대통령 후보 선호도를 조사(무선 ARS RDD 방식)한 결과 이재명 민주당 후보 49.5%, 김문수 후보 38.2%,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5.7%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김문수 후보와 이재명 후보의 격차는 11.3%p다.
오마이뉴스·오마이TV가 여론조사기관 메타보이스에 의뢰해 공식 선거운동 기간인 12~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9명을 대상으로 등록한 후보자 7명을 모두 불러준 후 누구에게 투표할지 물은(무선 RDD를 활용한 ARS 방식) 결과 이재명 후보 47.5%, 김 후보 36.1%, 이준석 후보 8.7% 등으로 나타났다. 김 후보와 이재명 후보 간 격차는 11.4%p다. 이 조사에서 김 후보가 30%대 지지율을 기록한 건 처음이다.
아시아투데이-한국여론평판연구소(KOPRA)가 지난 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선후보 지지도' 여론조사(무선 RDD를 이용한 ARS조사 방식)에서는 이재명 후보 47%, 김 후보 39%로 격차가 한 자릿수(8%p)로 좁혀졌다. 이준석 후보(8%)와 김 후보를 합치면 이재명 후보와 동률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12일 각각 서울 청계광장, 대구 서문시장, 서울 청계광장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뉴스1 /사진=(서울=뉴스1) 안은나 기자,박정호 기자,김민지 기자
반면 뉴스1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12~13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대선 후보 지지도를 물은 결과(휴대전화 전화조사원 인터뷰) 51%가 이재명 후보라고 답했다. 이어 김 후보 31%,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8%였다. 지지하는 후보가 '없다' 8%, '모름·응답 거절' 1%였다. 김 후보와 이재명 후보의 격차는 일주일 전 조사 때(18%p)보다 벌어진 20%p로 조사됐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김문수 후보 확정 직후 여론조사의 경우 전화면접 조사는 이재명과의 격차가 유지되거나 좁혀져도 소폭인 반면 ARS조사의 경우 일부 한 자릿수로 좁혀지는 등 김문수의 반등세가 나타난다"며 "전화면접 조사에선 아직 김문수 지지를 밝히길 꺼리는 '샤이보수'들의 침묵의 나선이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김문수 후보로서는 단일화 과정에서 실보다 득이 많다고도 볼 수 있다"며 "이재명 후보에 비해 서사가 부족했는데 쌍권(권영세·권성동) 지도부와 맞서며 김문수만의 히스토리가 생겼고 상대를 제압해 나가는 과정을 보이며 전략적인 이미지가 구축되면서 이재명과 싸울 수도 있겠다는 믿음을 줬다"고 평가했다.
다만 김 후보의 상승세는 '기술적 반등'의 성격이 강하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단일화 파동 등이 정리되고 후보가 확정되면서 국민의힘 지지층이 선택지를 좁혔기 때문에 나타나는 지지율 상승에 가깝단 것이다. 공식 선거운동 3일간 김 후보의 행보나 발언 중 지지율 상승을 이끌어낼 결정적인 모멘텀이 없었단 이유에서다.
특히 김 후보가 탄핵의 강을 넘기 위한 전향적 입장을 내놓지 않으면서 중도층을 떠나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보수 지지층조차 완전히 포섭하지 못하고 있단 분석이다. 실제로 정당 지지율 격차보다 김 후보와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여전히 크다.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 소장은 "국민의힘 지지층 중에서도 탄핵에 찬성한 이들이 40% 가까이 된다"며 "그 사람들한테 김문수를 뽑는 건 모욕적이고 민주주의 가치관에 배치되는 일"이라고 했다. 이어 "이들이 김문수를 선택하도록 하려면 윤 전 대통령 출당 등 조치가 빠르게 나와야 하는데 하지 않는 것은 대선에서 이길 의지가 없는 게 아닌가, 김문수 캠프의 관심이 대권보다 당권에 있지 않느냐는 의심이 들게 만드는 대목"이라고 했다.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이 선결되지 않으면 한동훈 전 대표, 유승민 전 의원 등 중도보수 인사를 포섭하기 어렵고, 추후 이준석 후보와의 단일화나 연대 논의 자체가 제한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엄 소장은 "이재명 후보의 경우 자기 진영을 확실히 잡아놓으니 중도나 보수로 우클릭해도 군말이 없잖나"라며 "중도 확장이 되려면 먼저 보수진영 통합해야 한다"고 밝혔다.
여론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머니투데이 박소연 기자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길리서치가 글로벌이코노믹 의뢰로 지난 11~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5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3일 발표한 차기 대통령 후보 선호도를 조사(무선 ARS RDD 방식)한 결과 이재명 민주당 후보 49.5%, 김문수 후보 38.2%,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5.7%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김문수 후보와 이재명 후보의 격차는 11.3%p다.
오마이뉴스·오마이TV가 여론조사기관 메타보이스에 의뢰해 공식 선거운동 기간인 12~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9명을 대상으로 등록한 후보자 7명을 모두 불러준 후 누구에게 투표할지 물은(무선 RDD를 활용한 ARS 방식) 결과 이재명 후보 47.5%, 김 후보 36.1%, 이준석 후보 8.7% 등으로 나타났다. 김 후보와 이재명 후보 간 격차는 11.4%p다. 이 조사에서 김 후보가 30%대 지지율을 기록한 건 처음이다.
아시아투데이-한국여론평판연구소(KOPRA)가 지난 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선후보 지지도' 여론조사(무선 RDD를 이용한 ARS조사 방식)에서는 이재명 후보 47%, 김 후보 39%로 격차가 한 자릿수(8%p)로 좁혀졌다. 이준석 후보(8%)와 김 후보를 합치면 이재명 후보와 동률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12일 각각 서울 청계광장, 대구 서문시장, 서울 청계광장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뉴스1 /사진=(서울=뉴스1) 안은나 기자,박정호 기자,김민지 기자
반면 뉴스1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12~13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대선 후보 지지도를 물은 결과(휴대전화 전화조사원 인터뷰) 51%가 이재명 후보라고 답했다. 이어 김 후보 31%,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8%였다. 지지하는 후보가 '없다' 8%, '모름·응답 거절' 1%였다. 김 후보와 이재명 후보의 격차는 일주일 전 조사 때(18%p)보다 벌어진 20%p로 조사됐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김문수 후보 확정 직후 여론조사의 경우 전화면접 조사는 이재명과의 격차가 유지되거나 좁혀져도 소폭인 반면 ARS조사의 경우 일부 한 자릿수로 좁혀지는 등 김문수의 반등세가 나타난다"며 "전화면접 조사에선 아직 김문수 지지를 밝히길 꺼리는 '샤이보수'들의 침묵의 나선이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김문수 후보로서는 단일화 과정에서 실보다 득이 많다고도 볼 수 있다"며 "이재명 후보에 비해 서사가 부족했는데 쌍권(권영세·권성동) 지도부와 맞서며 김문수만의 히스토리가 생겼고 상대를 제압해 나가는 과정을 보이며 전략적인 이미지가 구축되면서 이재명과 싸울 수도 있겠다는 믿음을 줬다"고 평가했다.
다만 김 후보의 상승세는 '기술적 반등'의 성격이 강하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단일화 파동 등이 정리되고 후보가 확정되면서 국민의힘 지지층이 선택지를 좁혔기 때문에 나타나는 지지율 상승에 가깝단 것이다. 공식 선거운동 3일간 김 후보의 행보나 발언 중 지지율 상승을 이끌어낼 결정적인 모멘텀이 없었단 이유에서다.
특히 김 후보가 탄핵의 강을 넘기 위한 전향적 입장을 내놓지 않으면서 중도층을 떠나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보수 지지층조차 완전히 포섭하지 못하고 있단 분석이다. 실제로 정당 지지율 격차보다 김 후보와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여전히 크다.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 소장은 "국민의힘 지지층 중에서도 탄핵에 찬성한 이들이 40% 가까이 된다"며 "그 사람들한테 김문수를 뽑는 건 모욕적이고 민주주의 가치관에 배치되는 일"이라고 했다. 이어 "이들이 김문수를 선택하도록 하려면 윤 전 대통령 출당 등 조치가 빠르게 나와야 하는데 하지 않는 것은 대선에서 이길 의지가 없는 게 아닌가, 김문수 캠프의 관심이 대권보다 당권에 있지 않느냐는 의심이 들게 만드는 대목"이라고 했다.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이 선결되지 않으면 한동훈 전 대표, 유승민 전 의원 등 중도보수 인사를 포섭하기 어렵고, 추후 이준석 후보와의 단일화나 연대 논의 자체가 제한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엄 소장은 "이재명 후보의 경우 자기 진영을 확실히 잡아놓으니 중도나 보수로 우클릭해도 군말이 없잖나"라며 "중도 확장이 되려면 먼저 보수진영 통합해야 한다"고 밝혔다.
여론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머니투데이 박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