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탈코리아] 축구에서 최대 화두는 '공격이 먼저냐 수비가 먼저냐'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정답은 단연코 수비가 먼저다. 따라서 ‘공격이 강한 팀은 승리 할 수 있지만, 수비가 강한 팀은 우승 할 수 있다’라는 말은 곧 진리로 통하고 있다. 때문에 축구의 포메이션은 수비 포메이션을 우선으로 발전을 계속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개념은 선수 개인의 기량 및 체력 발전에 따라 더 높은 개인, 부분, 팀적인 수비 전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현대 축구 수비전술 트렌드 중 하나는 압박(Pressing)으로 간주된다. 사실 1990년대 까지만 해도 수비 포메이션과 압박 개념은 현대 축구와는 차이점을 보여줬다. 따라서 공격형(딥라잉) 미드필더와 전문 수비형 미드필더( 박스 투 박스)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 내는 선수로 수비의 한 축을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같은 수비 전술은 공격 선수들의 급속한 기량 발전이 뛰따르며 변화를 가져오기 시작하여 이후 수비 전술은 전문적인 수비형 미드필더를 두고 창의적인 선수를 공격형 미드필더로 두는 형태를 취하는 형태로 변화되기 시작했다.
이는 결국 수비력이 좋은 선수들이 도태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입증시켜 주는 예로서 수비 전술은 곧 수비만을 위한 역할에 치우치지 않는 다는 것을 뜻한다. 이로 인하여 공격의 중요성 역시 대두되며 공격과 수비 역할의 투 보란치(Two Volante) 수비 포메이션이 탄생되기에 이르렀다. 궁극적으로 투 보란치 전술은 볼을 인터셉트 후 공격 전개 능력이 떨어지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선택하게 됐고, 한편으로 전체적인 압박 능력의 향상으로 굳이 수비형 미드필더가 볼을 인터셉트 하지 않아도 되는 전술적 흐름 때문이기도 했다.
그러나 공격형 미드필더와 수비형 미드필더의 조합은 그 두 선수 모두가 일정 수준 이상의 기량에 도달하지 못하면 그야말로 수비 취약성이 고스란히 노출되는 약점을 보여주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2명의 전문 수비형 미드필더를 두거나 전문적인 수비형 미드필더와 공격형 미드필더 즉 박스 투 박스(Box-to-Box)를 배치시키는게 일반적인 수비 전술 흐름으로 굳어져 있다.
이는 신개념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들의 활약이 돋보일 수록 이 선수들의 역량으로 인한 팀 공헌도가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공격형 미드필더의 탈압박 능력과 패싱력을 겸비한 선수부터가 드물고 여기에 수비력까지 겸비한 선수는 한 손으로 꼽을 정도여서 팀의 박스 투 박스 수비 포메이션 선택에 고민과 어려움이 뒤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현대 축구에서 필드 플레이어들이 모두 압박에 능하다고 할 수 있을만큼, 압박 전술이 일상화 되었기에 분명 수비형 미드필더라고 해서 수비력이 중요하게 받아들여 지지는 않는다.
이는 수비형 미드필더의 수비 능력이 비록 부족하더라도 공격라인에 위치한 선수들이 보완(거겐 프레싱Gerge n Pressing 포함)해 주는 대신에, 수비형 미드필더의 공격 가담을 통해서 상대의 강한 압박을 무력화시키는 것이 현대 축구의 대세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수비력이 강해질수록 공격의 파괴력은 더욱 날카로워지기 마련인 것이 축구다. 그러나 더욱 정형화되어 있는 수비 형태의 압박을 무너뜨리기란 결코 쉽지 않다.
이런 수비 형태도 상대가 스위칭 플레이와 더불어 전술적인 이해도와 왕성한 활동량과 뛰어난 운동 능력을 갖춘 선수의 2~3선에서의 허점을 파고드는 전술을 구사하게 되면 수비 안정성은 전제될 수 없다. 분명 과거에는 수비 전술에서의 압박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볼을 볼을 인터셉트하고, 볼을 가진 선수의 움직임을 봉쇄하는 수준에 그치며 지금과는 달리 조직적인 압박 개념이 약했다.
그러나 압박의 개념이 점점 발전하면서부터 유능한 선수 한 명에게 의지하는 전술은 도태되기 시작했고, 현대 축구에서는 공격 전술보다 수비 전술의 중요성이 증대되며 수비 선수의 높은 집중력은 물론, 더욱 촘촘한 수비 라인 유지에 의한 조직적인 수비력 즉, 부분, 팀적인 압박 전술이 요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같은 수비 전술은 2005년 국제축구연맹(FIFA)의 오프사이드 경기규칙 완화로 다시, 수비전술 패러다임에 큰 변화가 생기는 일이 발생하게 됐다.
이로 인하여 수비라인 뒷공간에 대한 부담으로 공수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었고 자연스레 개개인이 커버해야하는 공간도 확대됐다. 이는 공격수, 미드필더, 수비수의 3선 사이의 빈공간이 넓어져 상대팀의 공격 구사가 더욱 수월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존의 3선에서 4선 형태로의 수비 포메이션 변화에 의한 전술 구사는 불가피하게 됐다. 그 중 두드러진 현상은 새로운 4-2-3-1 팀 포메이션 형성과 함께 1명의 공격형 미드필더와 2명의 수비형 미드필더 역할이 분담된 것이다.
하지만 이런 4-2-3-1 포메이션은 중앙 수비력은 강화됐지만 양쪽 측면에 공간이 생긴다는 단점을 노출시키게 됐다. 이런 약점은 상대 풀백의 전진을 원활하게 하는 촉매로 작용했고 급기야 이를 봉쇄하기 위한 수비 전술 일환으로, 측면 미드필더를 전면 배치시키므로서 일정 부분 측면 수비력 약화를 해소할 수 있었지만, 이는 한편으로 풀백과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또 다른 공간 노출 약점을 드러내게 되었다.
결국 그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위해 풀백의 전진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었다. 이는 다시 말하면 상대 풀백의 전진에 측면 미드필더를 전면 배치함으로써 나타나는 공간 공략을 위해 풀백의 공격력이 요구되는 전술을 의미한다. 이만큼 현대 축구 수비 전술은 단지 수비를 위한 수비가 아닌 공격적인 전술도 중시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같이 다양성을 띄고 있는 수비 전술 구축은 공격 전술보다 장시간의 훈련을 필요로 한다.
팀 선수 구성은 한계성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수비 전술을 구축하기 위한 선수를 찾기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최소한 선수들 구성에 가장 적합한 수비 전술을 선택해야 한다는 명제가 있다. 이는 선수들이 지니고 있는 특징을 효율적으로 하나로 묶어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이다. 만약 그렇지 않고 단순히 특정 포지션의 이론적, 구조적인 이점만으로 포메이션에에 선수를 끼워맞추는 것은, 좋은 결과를 얻지도 그렇다고 선수에게 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없다. 그러므로 최고의 팀 전술은 보유하고 있는 선수들의 능력을 가장 극대화할 수 있는 공수 전술이어야 한다는 사실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김병윤(전 한국축구지도자협의회 사무차장)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이에 현대 축구 수비전술 트렌드 중 하나는 압박(Pressing)으로 간주된다. 사실 1990년대 까지만 해도 수비 포메이션과 압박 개념은 현대 축구와는 차이점을 보여줬다. 따라서 공격형(딥라잉) 미드필더와 전문 수비형 미드필더( 박스 투 박스)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 내는 선수로 수비의 한 축을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같은 수비 전술은 공격 선수들의 급속한 기량 발전이 뛰따르며 변화를 가져오기 시작하여 이후 수비 전술은 전문적인 수비형 미드필더를 두고 창의적인 선수를 공격형 미드필더로 두는 형태를 취하는 형태로 변화되기 시작했다.
이는 결국 수비력이 좋은 선수들이 도태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입증시켜 주는 예로서 수비 전술은 곧 수비만을 위한 역할에 치우치지 않는 다는 것을 뜻한다. 이로 인하여 공격의 중요성 역시 대두되며 공격과 수비 역할의 투 보란치(Two Volante) 수비 포메이션이 탄생되기에 이르렀다. 궁극적으로 투 보란치 전술은 볼을 인터셉트 후 공격 전개 능력이 떨어지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선택하게 됐고, 한편으로 전체적인 압박 능력의 향상으로 굳이 수비형 미드필더가 볼을 인터셉트 하지 않아도 되는 전술적 흐름 때문이기도 했다.
그러나 공격형 미드필더와 수비형 미드필더의 조합은 그 두 선수 모두가 일정 수준 이상의 기량에 도달하지 못하면 그야말로 수비 취약성이 고스란히 노출되는 약점을 보여주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2명의 전문 수비형 미드필더를 두거나 전문적인 수비형 미드필더와 공격형 미드필더 즉 박스 투 박스(Box-to-Box)를 배치시키는게 일반적인 수비 전술 흐름으로 굳어져 있다.
이는 신개념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들의 활약이 돋보일 수록 이 선수들의 역량으로 인한 팀 공헌도가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공격형 미드필더의 탈압박 능력과 패싱력을 겸비한 선수부터가 드물고 여기에 수비력까지 겸비한 선수는 한 손으로 꼽을 정도여서 팀의 박스 투 박스 수비 포메이션 선택에 고민과 어려움이 뒤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현대 축구에서 필드 플레이어들이 모두 압박에 능하다고 할 수 있을만큼, 압박 전술이 일상화 되었기에 분명 수비형 미드필더라고 해서 수비력이 중요하게 받아들여 지지는 않는다.
이는 수비형 미드필더의 수비 능력이 비록 부족하더라도 공격라인에 위치한 선수들이 보완(거겐 프레싱Gerge n Pressing 포함)해 주는 대신에, 수비형 미드필더의 공격 가담을 통해서 상대의 강한 압박을 무력화시키는 것이 현대 축구의 대세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수비력이 강해질수록 공격의 파괴력은 더욱 날카로워지기 마련인 것이 축구다. 그러나 더욱 정형화되어 있는 수비 형태의 압박을 무너뜨리기란 결코 쉽지 않다.
이런 수비 형태도 상대가 스위칭 플레이와 더불어 전술적인 이해도와 왕성한 활동량과 뛰어난 운동 능력을 갖춘 선수의 2~3선에서의 허점을 파고드는 전술을 구사하게 되면 수비 안정성은 전제될 수 없다. 분명 과거에는 수비 전술에서의 압박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볼을 볼을 인터셉트하고, 볼을 가진 선수의 움직임을 봉쇄하는 수준에 그치며 지금과는 달리 조직적인 압박 개념이 약했다.
그러나 압박의 개념이 점점 발전하면서부터 유능한 선수 한 명에게 의지하는 전술은 도태되기 시작했고, 현대 축구에서는 공격 전술보다 수비 전술의 중요성이 증대되며 수비 선수의 높은 집중력은 물론, 더욱 촘촘한 수비 라인 유지에 의한 조직적인 수비력 즉, 부분, 팀적인 압박 전술이 요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같은 수비 전술은 2005년 국제축구연맹(FIFA)의 오프사이드 경기규칙 완화로 다시, 수비전술 패러다임에 큰 변화가 생기는 일이 발생하게 됐다.
이로 인하여 수비라인 뒷공간에 대한 부담으로 공수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었고 자연스레 개개인이 커버해야하는 공간도 확대됐다. 이는 공격수, 미드필더, 수비수의 3선 사이의 빈공간이 넓어져 상대팀의 공격 구사가 더욱 수월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존의 3선에서 4선 형태로의 수비 포메이션 변화에 의한 전술 구사는 불가피하게 됐다. 그 중 두드러진 현상은 새로운 4-2-3-1 팀 포메이션 형성과 함께 1명의 공격형 미드필더와 2명의 수비형 미드필더 역할이 분담된 것이다.
하지만 이런 4-2-3-1 포메이션은 중앙 수비력은 강화됐지만 양쪽 측면에 공간이 생긴다는 단점을 노출시키게 됐다. 이런 약점은 상대 풀백의 전진을 원활하게 하는 촉매로 작용했고 급기야 이를 봉쇄하기 위한 수비 전술 일환으로, 측면 미드필더를 전면 배치시키므로서 일정 부분 측면 수비력 약화를 해소할 수 있었지만, 이는 한편으로 풀백과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또 다른 공간 노출 약점을 드러내게 되었다.
결국 그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위해 풀백의 전진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었다. 이는 다시 말하면 상대 풀백의 전진에 측면 미드필더를 전면 배치함으로써 나타나는 공간 공략을 위해 풀백의 공격력이 요구되는 전술을 의미한다. 이만큼 현대 축구 수비 전술은 단지 수비를 위한 수비가 아닌 공격적인 전술도 중시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같이 다양성을 띄고 있는 수비 전술 구축은 공격 전술보다 장시간의 훈련을 필요로 한다.
팀 선수 구성은 한계성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수비 전술을 구축하기 위한 선수를 찾기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최소한 선수들 구성에 가장 적합한 수비 전술을 선택해야 한다는 명제가 있다. 이는 선수들이 지니고 있는 특징을 효율적으로 하나로 묶어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이다. 만약 그렇지 않고 단순히 특정 포지션의 이론적, 구조적인 이점만으로 포메이션에에 선수를 끼워맞추는 것은, 좋은 결과를 얻지도 그렇다고 선수에게 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없다. 그러므로 최고의 팀 전술은 보유하고 있는 선수들의 능력을 가장 극대화할 수 있는 공수 전술이어야 한다는 사실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김병윤(전 한국축구지도자협의회 사무차장)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