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RTALKOREA] 배웅기 기자=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역사상 전대미문의 사태가 벌어졌다.
AFC는 20일(이하 한국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2024/25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이하 ACLE) 16강 진출을 확정 지은 동아시아 8개 팀을 공개했다. 요코하마 F. 마리노스, 가와사키 프론탈레, 조호르 다룰 탁짐, 광주FC, 비셀 고베, 부리람 유나이티드, 상하이 선화, 상하이 하이강이 16강에 올랐다.
여기서 문제가 생겼다. 애초 16강 진출이 유력하게 여겨지던 산둥 타이산이 19일 울산 HD와 리그 스테이지 8차전 원정 경기를 앞두고 돌연 대회 포기를 선언했다. 그러면서 순위가 뒤죽박죽 꼬이게 됐다. 산둥과 경기한 팀, 경기하지 않은 팀이 극명히 나뉘는 만큼 어떠한 방식으로 순위를 재정렬할 것인지 갑론을박이 분분했다.
만약 산둥의 울산전 결과만 몰수패 처리됐다면 포항스틸러스(3승 5패·승점 9)는 9위에서 한 계단 올라간 8위로 16강 막차 탑승이 가능했다. 마침 상하이 하이강(2승 2무 4패·승점 8)이 요코하마에 패하기까지 해 뜻밖의 극적인 드라마가 쓰여지나 싶었다.

그러나 AFC는 다소 납득할 수 없는 규정을 근거로 산둥의 모든 경기를 무효 처리했다. 산둥에 승리를 거뒀던 포항은 졸지에 승점 3이 삭감돼 9위(2승 5패·승점 6)로 처졌다. 반면 상하이 하이강은 요코하마에 패하고도 16강 진출에 성공하며 웃었다.
형평성 논란이 불거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ACLE 규정에 따르면 기권 팀이 발생할 경우 해당 팀의 경기 결과는 모두 무효화해 순위를 계산하게 된다. 이전의 조별리그 시스템 규정에서 일절 변화를 주지 않은 것. 리그 페이즈를 도입하며 규정을 전면 개편한 유럽축구연맹(UEFA)과 정반대되는 졸속행정이 제 발목을 잡은 꼴이다. 우스갯소리로 9~11위 팀 중 하나가 기권하면 또 16강 진출팀이 바뀐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다.
광주 역시 적지 않은 피해를 보게 됐다. 애초 광주의 16강 상대는 지난해 3-1 승리해 좋은 기억을 갖고 있는 조호르였다. 그런데 순위 변동으로 광주가 5위에서 4위로 상승, 반대로 5위가 된 고베와 한 판 승부를 벌이게 됐다. 토너먼트에 진출한 만큼 어느 하나 만만한 팀이 없지만 광주에 몇 되지 않는 패배를 안긴 고베와 만남은 다소 씁쓸한 뒷맛을 남길 전망이다.

사진=아시아축구연맹, 한국프로축구연맹
AFC는 20일(이하 한국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2024/25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이하 ACLE) 16강 진출을 확정 지은 동아시아 8개 팀을 공개했다. 요코하마 F. 마리노스, 가와사키 프론탈레, 조호르 다룰 탁짐, 광주FC, 비셀 고베, 부리람 유나이티드, 상하이 선화, 상하이 하이강이 16강에 올랐다.
여기서 문제가 생겼다. 애초 16강 진출이 유력하게 여겨지던 산둥 타이산이 19일 울산 HD와 리그 스테이지 8차전 원정 경기를 앞두고 돌연 대회 포기를 선언했다. 그러면서 순위가 뒤죽박죽 꼬이게 됐다. 산둥과 경기한 팀, 경기하지 않은 팀이 극명히 나뉘는 만큼 어떠한 방식으로 순위를 재정렬할 것인지 갑론을박이 분분했다.
만약 산둥의 울산전 결과만 몰수패 처리됐다면 포항스틸러스(3승 5패·승점 9)는 9위에서 한 계단 올라간 8위로 16강 막차 탑승이 가능했다. 마침 상하이 하이강(2승 2무 4패·승점 8)이 요코하마에 패하기까지 해 뜻밖의 극적인 드라마가 쓰여지나 싶었다.

그러나 AFC는 다소 납득할 수 없는 규정을 근거로 산둥의 모든 경기를 무효 처리했다. 산둥에 승리를 거뒀던 포항은 졸지에 승점 3이 삭감돼 9위(2승 5패·승점 6)로 처졌다. 반면 상하이 하이강은 요코하마에 패하고도 16강 진출에 성공하며 웃었다.
형평성 논란이 불거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ACLE 규정에 따르면 기권 팀이 발생할 경우 해당 팀의 경기 결과는 모두 무효화해 순위를 계산하게 된다. 이전의 조별리그 시스템 규정에서 일절 변화를 주지 않은 것. 리그 페이즈를 도입하며 규정을 전면 개편한 유럽축구연맹(UEFA)과 정반대되는 졸속행정이 제 발목을 잡은 꼴이다. 우스갯소리로 9~11위 팀 중 하나가 기권하면 또 16강 진출팀이 바뀐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다.
광주 역시 적지 않은 피해를 보게 됐다. 애초 광주의 16강 상대는 지난해 3-1 승리해 좋은 기억을 갖고 있는 조호르였다. 그런데 순위 변동으로 광주가 5위에서 4위로 상승, 반대로 5위가 된 고베와 한 판 승부를 벌이게 됐다. 토너먼트에 진출한 만큼 어느 하나 만만한 팀이 없지만 광주에 몇 되지 않는 패배를 안긴 고베와 만남은 다소 씁쓸한 뒷맛을 남길 전망이다.

사진=아시아축구연맹, 한국프로축구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