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탈코리아=서울월드컵경기장] 정지훈 기자= 55,501명의 관중 앞에서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FC서울. 역시 이곳은 ‘서울극장’이었다.
서울은 26일 오후 7시 30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13 AFC(아시아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ACL) 광저우 에버그란데와의 결승 1차전에서 에스쿠데로의 선제골과 데얀의 동점골에 힘입어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왜 서울 월드컵경기장이 ‘서울극장’이라 불리는지 알 수 있는 한판이었다.
경기 초반 서울은 데얀, 몰리나, 에스쿠데로의 삼각 편대와 중원에서 하대성, 고명진의 패스플레이로 경기를 주도했다. 결국 선제골의 몫은 서울이었다. 전반 12분 데얀의 패스를 받은 에스쿠데로가 날카로운 슈팅으로 선제골을 터트렸다.
그러나 이후가 문제였다. 선제골을 기록하자 서울의 수비라인이 전체적으로 뒤로 물러섰고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광저우의 공격진이 뒤공간을 파고들었다. 특히 콘카의 정확한 패스와 무리퀴, 엘켈손의 침투에 서울은 흔들렸고 연이은 찬스를 내줬다.
결국 광저우는 전반 29분 황보원의 코너킥을 엘켈손이 헤딩슈팅으로 연결하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이후 광저우는 후반 14분 순시앙의 크로스를 받은 가오린이 마무리하며 승부를 뒤집었다.
그러나 서울은 포기하지 않았다. 경기장을 가득메운 홈팬들은 서울을 연호했고 이때부터 서울의 저력이 발휘됐다.
그 중심에는 데얀이 있었다. 후반 20분 에스쿠데로의 패스를 받아 위협적인 슈팅을 시도했지만 골키퍼의 선방에 아쉬움을 삼켰다. 그러나 해결사는 두 번 실패하지 않았다. 후반 38분 에스쿠데로의 침투패스를 받은 데얀이 간결한 슈팅으로 골망을 갈랐고 결국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이후 서울은 계속해서 경기를 주도했지만 결국 추가골은 기록하지 못한채 아쉬운 무승부를 기록했다. 그러나 어려운 환경과 주의의 평가에도 서울은 흔들리지 않았고 결국 희망을 남겼다.
아직 결승전은 남아있고 이제 전반전을 치렀을 뿐이다.
사진=김재호 기자
서울은 26일 오후 7시 30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13 AFC(아시아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ACL) 광저우 에버그란데와의 결승 1차전에서 에스쿠데로의 선제골과 데얀의 동점골에 힘입어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왜 서울 월드컵경기장이 ‘서울극장’이라 불리는지 알 수 있는 한판이었다.
경기 초반 서울은 데얀, 몰리나, 에스쿠데로의 삼각 편대와 중원에서 하대성, 고명진의 패스플레이로 경기를 주도했다. 결국 선제골의 몫은 서울이었다. 전반 12분 데얀의 패스를 받은 에스쿠데로가 날카로운 슈팅으로 선제골을 터트렸다.
그러나 이후가 문제였다. 선제골을 기록하자 서울의 수비라인이 전체적으로 뒤로 물러섰고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광저우의 공격진이 뒤공간을 파고들었다. 특히 콘카의 정확한 패스와 무리퀴, 엘켈손의 침투에 서울은 흔들렸고 연이은 찬스를 내줬다.
결국 광저우는 전반 29분 황보원의 코너킥을 엘켈손이 헤딩슈팅으로 연결하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이후 광저우는 후반 14분 순시앙의 크로스를 받은 가오린이 마무리하며 승부를 뒤집었다.
그러나 서울은 포기하지 않았다. 경기장을 가득메운 홈팬들은 서울을 연호했고 이때부터 서울의 저력이 발휘됐다.
그 중심에는 데얀이 있었다. 후반 20분 에스쿠데로의 패스를 받아 위협적인 슈팅을 시도했지만 골키퍼의 선방에 아쉬움을 삼켰다. 그러나 해결사는 두 번 실패하지 않았다. 후반 38분 에스쿠데로의 침투패스를 받은 데얀이 간결한 슈팅으로 골망을 갈랐고 결국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이후 서울은 계속해서 경기를 주도했지만 결국 추가골은 기록하지 못한채 아쉬운 무승부를 기록했다. 그러나 어려운 환경과 주의의 평가에도 서울은 흔들리지 않았고 결국 희망을 남겼다.
아직 결승전은 남아있고 이제 전반전을 치렀을 뿐이다.
사진=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