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RTALKOREA] 황보동혁 기자=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가 또 한 번 중요한 여름을 맞는다.
GSW는 15일(이하 한국시간) 미네소타 타깃 센터에서 열린 2024-25 NBA 서부 콘퍼런스 2라운드 5차전에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에 110-121로 패하며 시리즈 전적 1승 4패로 플레이오프 탈락이 확정됐다.

이날 경기에서 브랜든 포지엠스키(28득점 6리바운드 4어시스트)와 조나단 쿠밍가(26득점 3리바운드 2스틸)가 분전했고, 지미 버틀러(17득점 6리바운드 6어시스트)와 드레이먼드 그린(10득점 6리바운드 6어시스트)도 힘을 보탰지만, 시리즈 초반 부상으로 이탈한 스테픈 커리의 빈자리는 끝내 메워지지 않았다.
GSW는 정규시즌 트레이드 마감일 직전, 마이애미 히트로부터 '플레이오프의 사나이' 지미 버틀러를 영입하며 강력한 ‘윈나우’ 시그널을 보냈다. 커리의 황혼기에 마지막 우승을 노리는 승부수였다.

실제로 버틀러는 이번 포스트시즌 11경기에서 평균 36분을 소화하며 19.2득점 6.6리바운드 5.2어시스트로 기대에 부응하는 활약을 펼쳤다.하지만 커리 없이 시리즈를 이끌기엔 역부족이었다.
이에 현지 매체들은 워리어스가 이번 오프시즌을 통해 확실한 제3 옵션과 프런트코트 보강을 병행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ESPN의 바비 마크스는 16일 ‘NBA 투데이’에서 “이번 플레이오프는 GSW가 안정적인 세 번째 스코어러, 그리고 인사이드 자원의 필요성이 얼마나 절실한지를 보여줬다”고 진단했다.

그런 가운데, GSW가 보스턴 셀틱스의 핵심 자원인 데릭 화이트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현지 매체 '헤비 스포츠'는 'THE RINGER'의 로건 머독의 발언을 인용 "GSW가 보스턴의 화이트를 영입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머독은 최근 '잭 로우 쇼'에 출연해 “워리어스는 현재 화이트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커리-버틀러를 보조할 수 있는 고효율의 3옵션으로, 화이트는 이상적인 존재"라고 언급했다.

보스턴의 주전 가드인 화이트는 이번 시즌 평균 16.4득점 4.5리바운드 4.8어시스트에 3점슛 성공률 38.4%를 기록하며 2017-2018시즌 NBA 데뷔 후 득점과 리바운드에서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특히 파이널 우승을 차지한 지난 플레이오프에서도 19경기 평균 16.7득점 4.3리바운드 4.1어시스트에 3점슛 성공률 40.4%로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큰 경기에서 강한 모습을 과시하기도 했다.

게다가 지난해에 이어 이번 시즌에도 올 디펜시브 세컨드 팀에 선정될 정도로 수비 능력또한 탁월하다. 이제 30대 후반에 접어들어 공격에만 집중해야 하는 커리의 확실한 백코트 파트너 역할을 해줄 수 있다.
매체는 "만약 GSW가 조나단 쿠밍가와 향후 1라운드 지명권을 포함한 패키지를 제시한다면, 보스턴도 협상 테이블에 앉을 수 있다. 쿠밍가는 젊고 운동 능력 좋은 윙 자원으로, 테이텀이 복귀할 때까지 전력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게다가 GSW는 2026~2029년까지 1라운드 지명권을 보유하고 있어, 장기 재편을 고려하는 셀틱스에 매력적인 카드다"라고 언급했다.

사실 평소대로라면 보스턴이 굳이 팀의 3옵션 역할을 해줄 수 있는 팔방미인인 화이트를 트레이드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팀의 재정 상황을 고려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미국 매체 '애슬론 스포츠'에 따르면 보스턴은 이번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조기에 탈락하며 재정 문제로 큰 압박을 받고 있다. 이미 총 연봉은 2억 4,000만 달러(약 3,361억 원)를 초과했고, 새로운 CBA 체제 하에선 사치세를 포함해 최대 5억 달러(약 7,000억 원)에 달할 수도 있다.

헤비 스포츠는 이 부분을 언급하며 "브래드 스티븐스 단장이 화이트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정적 유연성을 위해 트레이드 카드로 고려될 가능성은 충분하다"라고 주장했다.
과연 커리의 전성기에 한번 더 우승을 노리고 있는 GSW가 리그 최고의 가드 중 한명인 화이트를 영입하는 과감한 결단을 통해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 BASKETBALL FOREVER X, 게티이미지코리아
GSW는 15일(이하 한국시간) 미네소타 타깃 센터에서 열린 2024-25 NBA 서부 콘퍼런스 2라운드 5차전에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에 110-121로 패하며 시리즈 전적 1승 4패로 플레이오프 탈락이 확정됐다.

GSW는 정규시즌 트레이드 마감일 직전, 마이애미 히트로부터 '플레이오프의 사나이' 지미 버틀러를 영입하며 강력한 ‘윈나우’ 시그널을 보냈다. 커리의 황혼기에 마지막 우승을 노리는 승부수였다.

실제로 버틀러는 이번 포스트시즌 11경기에서 평균 36분을 소화하며 19.2득점 6.6리바운드 5.2어시스트로 기대에 부응하는 활약을 펼쳤다.하지만 커리 없이 시리즈를 이끌기엔 역부족이었다.
이에 현지 매체들은 워리어스가 이번 오프시즌을 통해 확실한 제3 옵션과 프런트코트 보강을 병행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ESPN의 바비 마크스는 16일 ‘NBA 투데이’에서 “이번 플레이오프는 GSW가 안정적인 세 번째 스코어러, 그리고 인사이드 자원의 필요성이 얼마나 절실한지를 보여줬다”고 진단했다.

그런 가운데, GSW가 보스턴 셀틱스의 핵심 자원인 데릭 화이트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현지 매체 '헤비 스포츠'는 'THE RINGER'의 로건 머독의 발언을 인용 "GSW가 보스턴의 화이트를 영입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머독은 최근 '잭 로우 쇼'에 출연해 “워리어스는 현재 화이트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커리-버틀러를 보조할 수 있는 고효율의 3옵션으로, 화이트는 이상적인 존재"라고 언급했다.

보스턴의 주전 가드인 화이트는 이번 시즌 평균 16.4득점 4.5리바운드 4.8어시스트에 3점슛 성공률 38.4%를 기록하며 2017-2018시즌 NBA 데뷔 후 득점과 리바운드에서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특히 파이널 우승을 차지한 지난 플레이오프에서도 19경기 평균 16.7득점 4.3리바운드 4.1어시스트에 3점슛 성공률 40.4%로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큰 경기에서 강한 모습을 과시하기도 했다.

게다가 지난해에 이어 이번 시즌에도 올 디펜시브 세컨드 팀에 선정될 정도로 수비 능력또한 탁월하다. 이제 30대 후반에 접어들어 공격에만 집중해야 하는 커리의 확실한 백코트 파트너 역할을 해줄 수 있다.
매체는 "만약 GSW가 조나단 쿠밍가와 향후 1라운드 지명권을 포함한 패키지를 제시한다면, 보스턴도 협상 테이블에 앉을 수 있다. 쿠밍가는 젊고 운동 능력 좋은 윙 자원으로, 테이텀이 복귀할 때까지 전력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게다가 GSW는 2026~2029년까지 1라운드 지명권을 보유하고 있어, 장기 재편을 고려하는 셀틱스에 매력적인 카드다"라고 언급했다.

사실 평소대로라면 보스턴이 굳이 팀의 3옵션 역할을 해줄 수 있는 팔방미인인 화이트를 트레이드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팀의 재정 상황을 고려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미국 매체 '애슬론 스포츠'에 따르면 보스턴은 이번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조기에 탈락하며 재정 문제로 큰 압박을 받고 있다. 이미 총 연봉은 2억 4,000만 달러(약 3,361억 원)를 초과했고, 새로운 CBA 체제 하에선 사치세를 포함해 최대 5억 달러(약 7,000억 원)에 달할 수도 있다.

헤비 스포츠는 이 부분을 언급하며 "브래드 스티븐스 단장이 화이트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정적 유연성을 위해 트레이드 카드로 고려될 가능성은 충분하다"라고 주장했다.
과연 커리의 전성기에 한번 더 우승을 노리고 있는 GSW가 리그 최고의 가드 중 한명인 화이트를 영입하는 과감한 결단을 통해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 BASKETBALL FOREVER X, 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