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고 보는 조재호'', ''역시 김가영이라는 말 들을 것''...2024-25시즌 PBA-LPBA 개막 미디어데이 10일 성료
입력 : 2024.06.10기사보내기 :  트위터  페이스북
[스포탈코리아] 오상진 기자= “이번 시즌에도 믿보조(믿고 보는 조재호)라는 말을 듣겠다”(조재호), “제가 왜 이 자리를 십수년간 지켰는지 증명하겠다. ‘역시 김가영’이라는 말 듣겠다”(김가영)

프로당구협회(PBA)가 1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2024-25시즌 PBA-LPBA 개막 미디어데이’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조재호(NH농협카드), 김가영(하나카드), 다니엘 산체스(스페인·에스와이), 스롱 피아비(캄보디아·우리금융캐피탈) 김영원 등 PBA-LPBA를 대표하는 선수들이 참석해 시즌 개막전을 맞이하는 각오를 전했다.



두 시즌 연속 월드챔피언십에서 우승한 조재호는 “’믿보조(믿고 보는 조재호)’라는 말을 좋아한다. 지고 있다가 역전해서 포기하지 않는 모습이나 또 역전해서 승리하는 경기 때문에 그런 얘기를 듣는 것 같다. 이번에도 최선을 다해서 끝까지 열심히 하는 선수로 기억되고 싶다”는 포부를 전했다.

PBA에서 누적 상금 8억 원을 돌파한 조재호는 올 시즌 성적에 따라 PBA 선수로는 최초로 누적 상금 10억원을 돌파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관련해 조재호는 “10억원이라는 금액이 당구 선수로써 큰 의미가 될 것 같다. 최초로 달성하고 싶은 건 큰 욕심이기도 하며, 하고 싶은 목표”라며 “올해 꼭 달성을 하고 싶고, 좋은 곳에 기부도 할 생각이 있다. 기부를 통해 ‘당구 선수들도 좋은 일을 하는구나’를 알려드리고 싶다”고 계획을 전했다.



지난 시즌 PBA 무대에 입성했지만 다소 부진한 성적을 거둔 산체스는 올 시즌 달라진 모습을 예고했다. 산체스는 “작년과 달라진 내 최고의 무기는 경험이다. 지난해 처음 PBA에 합류해서 다른 시스템과 경기 방식, 테이블, 공에 적응하느라 초보자의 마인드로 경기에 임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감도 떨어졌고, 아쉬운 시즌을 보냈다”고 밝혔다.

그는 “하지만 다가오는 시즌에는 한 시즌을 경험했기에 조금 더 적응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또 올 시즌 새롭게 출시된 공을 쳐봤는데 나에게 잘 맞는다. 한국 생활도 적응 중이라 이러한 경험들이 나에게 최고의 무기가 될 것이다. 또 이제 한국의 매운 음식들도 잘 먹을 수 있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다.



지난 시즌 드림투어(2부) 최종 2위로 1부 승격에 성공한 ‘PBA 최연소’ 김영원(17)은 “이번 시즌 목표는 128강 통과를 우선 목표로, 최종 목표는 1부 투어 잔류로 잡았다”라면서 “당장은 눈 앞의 한 경기에서 최선을 다하는 게 나에게는 더욱 좋은 것(마음) 같다. 그래도 항상 우승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영원은 “제가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멘탈이 쉽게 흔들릴 거라고 생각하겠지만, 흔들리지 않는 선수라는 얘기를 듣고 싶다”고 당찬 각오를 전했다.



‘캄보디아 특급’ 스롱 피아비는 “이제 우리금융캐피탈 소속이 됐다. 새로운 시작이니까 새롭게 도전하겠다. 조용하게 레슨을 많이 받고 있다. 지켜봐 달라”며 “당구 선수로서 어려운 사람들을 당구를 통해 돕고 싶다”고 전했다.

지난 시즌 ‘LPBA 1위’ 김가영은 “작년에 굉장히 좋은 마무리를 했다. 올해는 지난 시즌 보다 조금 더 단단해진 선수로서의 모습을 보여드리는 게 목표”라면서도 “하지만 제가 왜 김가영이고, 십 수년간 이 자리에서 최고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지, 이번에 다시 확인시켜 주겠다”는 각오를 전했다.



한편, PBA는 이번 시즌 글로벌투어로서의 첫 발을 뗀다. 오는 8월 시즌 3차 투어인 베트남 하노이에서 ‘에스와이 바자르 PBA-LPBA 하노이오픈’으로 대회를 연다.

아울러 여자부의 총 상금이 1억 원(우승 4,000만 원)으로 증액됐다. 지난 시즌 스폰서 자율 방식을 통해 여자부 우승 상금을 기본 2,000만 원에서 최대 3,000만 원으로 책정한 바 있는데, 우승 상금이 늘어나며 선수들의 치열한 경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 드림투어(2부)와 챌린지투어(3부)가 통합된다. 통합 드림투어는 정규 7개 투어와 파이널 투어 체제로 변환된다. 투어별 총 상금은 4,000만 원, 우승자는 1,000만 원의 상금이 주어지며, 파이널의 경우 총 상금 6,000만 원을 놓고 경쟁한다. 이밖에 LPBA 32강과 16강의 선승제 변경, 초구배치 등 경기 속도감을 더하기 위한 규정을 손봤다.

PBA는 16일부터 시즌 개막전인 ‘우리금융캐피탈 PBA-LPBA 챔피언십’으로 막을 올린다. 16일부터 이틀간 LPBA 예선이 치러지며, 18일 오전 11시 30분 개막식을 통해 본격적인 대회에 돌입한다. 결승전은 LPBA가 18일 밤 9시 30분, PBA는 밤 10시에 결승전을 갖는다.

사진=PBA 제공

오늘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