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83) 전 미국 대통령이 이미 뼈까지 전이된 전립선암(전립샘암)을 진단받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뼈 전이 전립선암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커졌다. 과연 그에게 나타난 '뼈로 전이된 전립선암'은 어떤 병이고,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18일(현지 시각) 바이든 전 대통령 사무실은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17일 전립선암으로 진단받았으며, 글리슨 점수가 9점(5등급군)에 해당하는 공격적인 형태의 암(aggressive form)으로 이미 뼈로 전이된 상태"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어떤 상태일까. 박성열 한양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뼈로 전이됐다면 전이성 전립선암으로, 기수로는 4기로 친다"며 "4기 전립선암은 혈관·임파선(림프샘)을 통해 암세포가 먼 데까지 이동하며 퍼진 경우로, 전립선에서 꽤 멀리 떨어진 장기·뼈로 암이 퍼진 원격 전이"라고 설명했다.
전립선암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해골, 갈비뼈, 팔다리뼈 등) 어느 뼈로든 전이될 수 있지만, 주로 우리 몸의 '중심축'을 이루는 골반뼈·척추뼈로의 전이가 가장 흔하다. 박성열 교수는 "전립선암 자체는 대부분 무증상이어서, 뼈 전이로 인한 통증·골절로 암이 발견되는 경우가 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립선암 환자 가운데 자신이 암 환자인 줄 모르다가 허리통증, 허리뼈 골절 등으로 정형외과·신경외과를 찾아갔다가 척추뼈로 전이된 전립선암을 발견한 4기 환자가 적잖다고 한다.
하유신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실제로 전립선암이 발견된 환자를 진료실에서 만나면 거의 공통으로 '아무 증상이 없다'고들 한다. 그래서 진료실에서 전립선암을 진단받고도 믿지 못하는 환자들이 많다"면서 "전립선암 증상이 전립선 비대증과 거의 비슷해, 전립선 비대증을 의심해 병원을 찾았다가 전립선암으로 진단받는 환자도 많다"고 했다.
대표적인 증상이 배뇨 증상이다. 소변 줄기가 가늘어지거나 소변본 후에도 소변이 안에 남아 있는 듯한 잔뇨감, 처음에 소변보는 게 되게 어려운 경우가 그 예다. AP·로이터 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전 대통령도 최근 소변 시 이상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으며, 지난 16일 전립선암으로 판정됐다.
바이든 전 대통령처럼 글리슨 점수가 '9점'이라면 어떤 상황일까. 박 교수는 "글리슨 점수는 10점 만점으로, 10점이라면 악성도가 가장 높은 전립선암이자 암이 공격적이라는 뜻"이라며 "바이든 전 대통령처럼 9점이면 '고등급 암'으로 판단한다. 이는 악성도가 높고 암이 빠르게 자라서, 굉장히 공격적인 수준"이라고 풀이했다.
전립선암이 퍼지지 않고 한 곳에만 있으면 전립선·정낭 등을 떼어내거나 방사선 치료로 병변을 쐬는 국소 치료를 시행한다. 하지만 바이든 전 대통령처럼 이미 뼈로 전이된 전립선암은 뼈 이외에도 전신의 어느 곳에서든 암이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의료진은 이를 전신 질환으로 판단해, 암에 대한 전신 치료로 항암치료를 실시한다.
박 교수는 "4기 전립선암을 치료할 때 사용돼온 고전적인 치료법은 항호르몬 치료인데, 최근엔 2~3가지 항암제를 섞어 쓰는 '복합 치료'가 추세"라며 "암이 공격적이고 암이 퍼진 범위가 넘으면 항암치료를 2가지 이상 섞어 쓰는 복합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립선암은 남성 호르몬이 암 조직을 자극해 암이 커지는 병이다. 그래서 전립선암 약물 치료의 메커니즘은 남성 호르몬을 차단해 암 조직의 성장·진행을 억제하는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전립선암 약물 치료 시 거의 대부분은 이러한 남성 호르몬 차단을 중심으로 하며, 각 약물은 작용 기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암세포에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전립선암 성장·진행을 억제·관리하는 목적으로 치료한다.
안타깝게도 현대의학에서 4기 전립선암은 '완치'를 최종 목적을 삼지 못한다. 병의 진행을 최대한 막고, 장기간 합병증이 생기지 않게 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5년 생존율은 50~60% 선이다.
특히 바이든 전 대통령처럼 뼈로 전이된 경우라면 뼈 안에서 암이 자라나면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거나, 뼈 안에서 암세포가 커지면서 뼈가 부러질 수도 있다. 이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4기 전립선암 환자는 반드시 치료받아야 한다는 게 박 교수의 조언이다.
그는 "전립선암이 예로부터 나이 많은 환자에게 잘 생긴다 해서 유명한 '고령암'으로 꼽힌다"면서도 "연세가 많다고 치료를 포기하지 말고, 최근엔 좋은 치료제가 많이 나와 있으므로 나이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다른 암보다 덜 힘들게 좋은 예후를 유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고령암인 전립선암의 호발 연령은 '60세 이후'다. 하지만 증상이 없어 40세 이상 남성은 아무 증상 없더라도 매년 1회 전립선 검사가 권장된다. 증상이 없더라도 PSA(혈중 전립선특이항원) 검사, 항문·직장을 통해 보는 초음파검사, 의사가 손가락으로 전립선을 만져보는 직장수지검사 등이 검사법이다. 박 교수는 "직계가족 중 1명이 전립선암 환자면 일반인의 3배, 2명이면 일반인의 10배 가까이 발병률이 올라간다"며 "전립선암 가족력이 있다면 이런 검사를 30대부터 챙겨 받는 게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머니투데이
18일(현지 시각) 바이든 전 대통령 사무실은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17일 전립선암으로 진단받았으며, 글리슨 점수가 9점(5등급군)에 해당하는 공격적인 형태의 암(aggressive form)으로 이미 뼈로 전이된 상태"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어떤 상태일까. 박성열 한양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뼈로 전이됐다면 전이성 전립선암으로, 기수로는 4기로 친다"며 "4기 전립선암은 혈관·임파선(림프샘)을 통해 암세포가 먼 데까지 이동하며 퍼진 경우로, 전립선에서 꽤 멀리 떨어진 장기·뼈로 암이 퍼진 원격 전이"라고 설명했다.
전립선암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해골, 갈비뼈, 팔다리뼈 등) 어느 뼈로든 전이될 수 있지만, 주로 우리 몸의 '중심축'을 이루는 골반뼈·척추뼈로의 전이가 가장 흔하다. 박성열 교수는 "전립선암 자체는 대부분 무증상이어서, 뼈 전이로 인한 통증·골절로 암이 발견되는 경우가 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립선암 환자 가운데 자신이 암 환자인 줄 모르다가 허리통증, 허리뼈 골절 등으로 정형외과·신경외과를 찾아갔다가 척추뼈로 전이된 전립선암을 발견한 4기 환자가 적잖다고 한다.
하유신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실제로 전립선암이 발견된 환자를 진료실에서 만나면 거의 공통으로 '아무 증상이 없다'고들 한다. 그래서 진료실에서 전립선암을 진단받고도 믿지 못하는 환자들이 많다"면서 "전립선암 증상이 전립선 비대증과 거의 비슷해, 전립선 비대증을 의심해 병원을 찾았다가 전립선암으로 진단받는 환자도 많다"고 했다.
대표적인 증상이 배뇨 증상이다. 소변 줄기가 가늘어지거나 소변본 후에도 소변이 안에 남아 있는 듯한 잔뇨감, 처음에 소변보는 게 되게 어려운 경우가 그 예다. AP·로이터 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전 대통령도 최근 소변 시 이상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으며, 지난 16일 전립선암으로 판정됐다.
바이든 전 대통령처럼 글리슨 점수가 '9점'이라면 어떤 상황일까. 박 교수는 "글리슨 점수는 10점 만점으로, 10점이라면 악성도가 가장 높은 전립선암이자 암이 공격적이라는 뜻"이라며 "바이든 전 대통령처럼 9점이면 '고등급 암'으로 판단한다. 이는 악성도가 높고 암이 빠르게 자라서, 굉장히 공격적인 수준"이라고 풀이했다.
전립선암이 퍼지지 않고 한 곳에만 있으면 전립선·정낭 등을 떼어내거나 방사선 치료로 병변을 쐬는 국소 치료를 시행한다. 하지만 바이든 전 대통령처럼 이미 뼈로 전이된 전립선암은 뼈 이외에도 전신의 어느 곳에서든 암이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의료진은 이를 전신 질환으로 판단해, 암에 대한 전신 치료로 항암치료를 실시한다.
박 교수는 "4기 전립선암을 치료할 때 사용돼온 고전적인 치료법은 항호르몬 치료인데, 최근엔 2~3가지 항암제를 섞어 쓰는 '복합 치료'가 추세"라며 "암이 공격적이고 암이 퍼진 범위가 넘으면 항암치료를 2가지 이상 섞어 쓰는 복합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립선암은 남성 호르몬이 암 조직을 자극해 암이 커지는 병이다. 그래서 전립선암 약물 치료의 메커니즘은 남성 호르몬을 차단해 암 조직의 성장·진행을 억제하는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전립선암 약물 치료 시 거의 대부분은 이러한 남성 호르몬 차단을 중심으로 하며, 각 약물은 작용 기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암세포에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전립선암 성장·진행을 억제·관리하는 목적으로 치료한다.
안타깝게도 현대의학에서 4기 전립선암은 '완치'를 최종 목적을 삼지 못한다. 병의 진행을 최대한 막고, 장기간 합병증이 생기지 않게 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5년 생존율은 50~60% 선이다.
특히 바이든 전 대통령처럼 뼈로 전이된 경우라면 뼈 안에서 암이 자라나면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거나, 뼈 안에서 암세포가 커지면서 뼈가 부러질 수도 있다. 이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4기 전립선암 환자는 반드시 치료받아야 한다는 게 박 교수의 조언이다.
그는 "전립선암이 예로부터 나이 많은 환자에게 잘 생긴다 해서 유명한 '고령암'으로 꼽힌다"면서도 "연세가 많다고 치료를 포기하지 말고, 최근엔 좋은 치료제가 많이 나와 있으므로 나이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다른 암보다 덜 힘들게 좋은 예후를 유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고령암인 전립선암의 호발 연령은 '60세 이후'다. 하지만 증상이 없어 40세 이상 남성은 아무 증상 없더라도 매년 1회 전립선 검사가 권장된다. 증상이 없더라도 PSA(혈중 전립선특이항원) 검사, 항문·직장을 통해 보는 초음파검사, 의사가 손가락으로 전립선을 만져보는 직장수지검사 등이 검사법이다. 박 교수는 "직계가족 중 1명이 전립선암 환자면 일반인의 3배, 2명이면 일반인의 10배 가까이 발병률이 올라간다"며 "전립선암 가족력이 있다면 이런 검사를 30대부터 챙겨 받는 게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