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탈코리아] 김성진 기자= 주한중국대사관이 쇼트트랙 판정 논란과 관련해서 정치인들의 중국에 향한 비난 발언에 비판하고 나섰다.
대사관은 9일 위챗 계정을 통해 “베이징올림픽 쇼트트랙 심판 의혹 제기에 대한 의견’이라는 글을 게재했다.
대사관 측은 “최근 한국 선수단과 일부 언론이 베이징 올림픽 쇼트트랙에 대해 '불공정 판정'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점에 주목한다”며 “기술적인 문제인 만큼 전문적이고 권위 있는 기관에서 판단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한국 언론과 정치인들은 중국 정부와 베이징 올림픽 전체를 겨냥하고 반중 감정까지 부추겨 중국 네티즌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고 했다.
이어 “동계올림픽은 경기인 만큼 전문성과 기술성이 뛰어나고 종목마다 규칙과 기준, 규약이 명확하다. 국제빙상경기연맹은 위험성이 높고 논란이 생기기 쉬운 종목으로 참가 선수들의 안전을 극대화하고 경기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경기규칙을 개정·보완·세밀하게 정비하고 있다. 베이징 올림픽 쇼트트랙 종목은 최근 개정 규칙에 따른 것이다”라며 규정에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또한 대사관 측은 “동계올림픽은 국제스포츠대회로 경기마다 심판은 IOC와 ISU가 뽑고 어느 나라나 정부가 간섭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중국 정부는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각국 선수들에게 안전하고 공정하며 공정한 경기 환경을 제공하고, 각종 경기가 심플하고 멋지게 치러질 수 있도록 하지만, 결코 경기 결과에 영향을 끼치고 간섭하지 않는다”며 스포츠에 정치가 개입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한국 언론과 정치인들이 올림픽에 흑막이 있다고 억측하며 중국 정부가 반성해야 한다는 것은 무책임하게 행동하는 것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최근 쇼트트랙의 석연치 않은 판정 이후 잇따른 정치인들의 발언을 비난했다.
마지막으로 대사관 측은 “한중 수교 30년 동안 양국 관계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어 두 나라의 발전을 크게 촉진했으며, 두 나라 인민들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중국은 양국 관계와 양국 국민 간 우호감정을 촉진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계속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사진=뉴시스, 주한중국대사관 위챗 캡처
대사관은 9일 위챗 계정을 통해 “베이징올림픽 쇼트트랙 심판 의혹 제기에 대한 의견’이라는 글을 게재했다.
대사관 측은 “최근 한국 선수단과 일부 언론이 베이징 올림픽 쇼트트랙에 대해 '불공정 판정'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점에 주목한다”며 “기술적인 문제인 만큼 전문적이고 권위 있는 기관에서 판단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한국 언론과 정치인들은 중국 정부와 베이징 올림픽 전체를 겨냥하고 반중 감정까지 부추겨 중국 네티즌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고 했다.
이어 “동계올림픽은 경기인 만큼 전문성과 기술성이 뛰어나고 종목마다 규칙과 기준, 규약이 명확하다. 국제빙상경기연맹은 위험성이 높고 논란이 생기기 쉬운 종목으로 참가 선수들의 안전을 극대화하고 경기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경기규칙을 개정·보완·세밀하게 정비하고 있다. 베이징 올림픽 쇼트트랙 종목은 최근 개정 규칙에 따른 것이다”라며 규정에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또한 대사관 측은 “동계올림픽은 국제스포츠대회로 경기마다 심판은 IOC와 ISU가 뽑고 어느 나라나 정부가 간섭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중국 정부는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각국 선수들에게 안전하고 공정하며 공정한 경기 환경을 제공하고, 각종 경기가 심플하고 멋지게 치러질 수 있도록 하지만, 결코 경기 결과에 영향을 끼치고 간섭하지 않는다”며 스포츠에 정치가 개입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한국 언론과 정치인들이 올림픽에 흑막이 있다고 억측하며 중국 정부가 반성해야 한다는 것은 무책임하게 행동하는 것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최근 쇼트트랙의 석연치 않은 판정 이후 잇따른 정치인들의 발언을 비난했다.
마지막으로 대사관 측은 “한중 수교 30년 동안 양국 관계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어 두 나라의 발전을 크게 촉진했으며, 두 나라 인민들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중국은 양국 관계와 양국 국민 간 우호감정을 촉진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계속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사진=뉴시스, 주한중국대사관 위챗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