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탈코리아=연희로] 배웅기 기자= 울산 HD 조현우(33)가 올 시즌 K리그 별 중의 별로 빛났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9일 오후 3시 서울 서대문구 소재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하나은행 K리그 2024 대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 한 해 K리그 최고의 별은 조현우였다. 조현우는 감독 8표, 주장 7표, 미디어 75표 등 고른 지지를 받으며 MVP를 수상했다.
2013년 대구FC 유니폼을 입고 프로 커리어를 시작한 조현우는 2020년 울산으로 이적해 어느덧 5년 차를 맞았다.
조현우는 이번 시즌 전경기 풀타임을 소화하며 안정적인 선방으로 울산의 골문을 지켰다. 그 결과 조현우는 38경기 40실점을 허용했고, 클린시트 14회를 기록했다. 라운드 MVP는 2회, 라운드 베스트11 선정은 무려 11회에 달한다. 울산은 조현우의 활약에 힘입어 K리그1 3연패 쾌거를 달성했다.
조현우는 2018 국제축구연맹(FIFA) 러시아 월드컵,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등 월드컵 2회 연속 출전과 더불어 최근에도 국가대표팀 주전으로 활약하며 대한민국 축구 위상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울산은 2022년 이청용, 2023년 김영권에 이어 올해 조현우까지 3년 연속 MVP를 배출하게 됐다. 또한 골키퍼가 MVP를 차지한 것은 2008년 이운재(前 수원삼성블루윙즈) 이후 16년 만이다.
수원FC 안데르손은 감독 3표, 주장 4표, 미디어 8표를 받아 환산 점수 20.26점으로 2위를 기록했고, 강원의 준우승을 이끈 양민혁은 16.38점으로 뒤를 이었다.

영플레이어는 감독 11표, 주장 10표, 미디어 115표로 '몰표'를 받은 강원FC 양민혁(18)의 몫이다.
강원 유소년팀 출신 양민혁은 이번 시즌 준프로계약 선수로 K리그에 데뷔했고, 전경기에 출전해 12골 6도움을 올렸다.
양민혁은 출전, 득점, 공격포인트 등 구단 최연소 기록을 모두 갈아치우며 떠오르는 신예로 거듭났고, 시즌 중 정식 프로 선수로 계약을 전환했다. 양민혁은 시즌 내내 기복 없는 활약으로 강원의 준우승을 이끌며 데뷔 시즌 MVP 후보까지 이름을 올리는 영광을 안았다.
양민혁은 2017년 김민재(前 전북현대, 現 바이에른 뮌헨)에 이어 데뷔 1년 차에 영플레이어를 수상한 두 번째 선수가 됐다.
강원은 2019년 김지현(울산), 2022년 양현준(셀틱), 2024년 양민혁으로 역대 세 번째 수상자를 배출하며 포항스틸러스(고무열, 김승대, 송민규)와 함께 가장 많은 영플레이어를 키워낸 구단이 됐다.

감독상은 강원의 돌풍을 이끈 윤정환(51) 감독에게 돌아갔다.
강원은 윤정환 감독의 뛰어난 리더십과 지도력을 토대로 리그 38경기 19승 7무 12패를 거두며 창단 이래 최초 준우승을 차지했다.
윤정환 감독은 감독 7표, 주장 7표, 미디어 89표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그야말로 반전 드라마였다. 지난 시즌 도중 강원에 부임한 윤정환 감독은 승강 플레이오프까지 가는 벼랑 끝 극적인 잔류를 견인했고, 올 시즌 강원을 준우승에 올려놓았다.
K리그1에서 우승 팀 외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한 것은 2020년 3위 포항의 김기동(FC서울) 감독 이후 4년 만이다. K리그 전체로 살펴보면 2005년 장외룡(인천유나이티드·준우승, 現 대한축구협회(KFA) 부회장), 2010년 박경훈(제주유나이티드·준우승, 現 수원삼성블루윙즈 단장), 2020년 김기동 감독에 이은 네 번째다.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9일 오후 3시 서울 서대문구 소재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하나은행 K리그 2024 대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 한 해 K리그 최고의 별은 조현우였다. 조현우는 감독 8표, 주장 7표, 미디어 75표 등 고른 지지를 받으며 MVP를 수상했다.
2013년 대구FC 유니폼을 입고 프로 커리어를 시작한 조현우는 2020년 울산으로 이적해 어느덧 5년 차를 맞았다.
조현우는 이번 시즌 전경기 풀타임을 소화하며 안정적인 선방으로 울산의 골문을 지켰다. 그 결과 조현우는 38경기 40실점을 허용했고, 클린시트 14회를 기록했다. 라운드 MVP는 2회, 라운드 베스트11 선정은 무려 11회에 달한다. 울산은 조현우의 활약에 힘입어 K리그1 3연패 쾌거를 달성했다.
조현우는 2018 국제축구연맹(FIFA) 러시아 월드컵,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등 월드컵 2회 연속 출전과 더불어 최근에도 국가대표팀 주전으로 활약하며 대한민국 축구 위상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울산은 2022년 이청용, 2023년 김영권에 이어 올해 조현우까지 3년 연속 MVP를 배출하게 됐다. 또한 골키퍼가 MVP를 차지한 것은 2008년 이운재(前 수원삼성블루윙즈) 이후 16년 만이다.
수원FC 안데르손은 감독 3표, 주장 4표, 미디어 8표를 받아 환산 점수 20.26점으로 2위를 기록했고, 강원의 준우승을 이끈 양민혁은 16.38점으로 뒤를 이었다.

영플레이어는 감독 11표, 주장 10표, 미디어 115표로 '몰표'를 받은 강원FC 양민혁(18)의 몫이다.
강원 유소년팀 출신 양민혁은 이번 시즌 준프로계약 선수로 K리그에 데뷔했고, 전경기에 출전해 12골 6도움을 올렸다.
양민혁은 출전, 득점, 공격포인트 등 구단 최연소 기록을 모두 갈아치우며 떠오르는 신예로 거듭났고, 시즌 중 정식 프로 선수로 계약을 전환했다. 양민혁은 시즌 내내 기복 없는 활약으로 강원의 준우승을 이끌며 데뷔 시즌 MVP 후보까지 이름을 올리는 영광을 안았다.
양민혁은 2017년 김민재(前 전북현대, 現 바이에른 뮌헨)에 이어 데뷔 1년 차에 영플레이어를 수상한 두 번째 선수가 됐다.
강원은 2019년 김지현(울산), 2022년 양현준(셀틱), 2024년 양민혁으로 역대 세 번째 수상자를 배출하며 포항스틸러스(고무열, 김승대, 송민규)와 함께 가장 많은 영플레이어를 키워낸 구단이 됐다.

감독상은 강원의 돌풍을 이끈 윤정환(51) 감독에게 돌아갔다.
강원은 윤정환 감독의 뛰어난 리더십과 지도력을 토대로 리그 38경기 19승 7무 12패를 거두며 창단 이래 최초 준우승을 차지했다.
윤정환 감독은 감독 7표, 주장 7표, 미디어 89표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그야말로 반전 드라마였다. 지난 시즌 도중 강원에 부임한 윤정환 감독은 승강 플레이오프까지 가는 벼랑 끝 극적인 잔류를 견인했고, 올 시즌 강원을 준우승에 올려놓았다.
K리그1에서 우승 팀 외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한 것은 2020년 3위 포항의 김기동(FC서울) 감독 이후 4년 만이다. K리그 전체로 살펴보면 2005년 장외룡(인천유나이티드·준우승, 現 대한축구협회(KFA) 부회장), 2010년 박경훈(제주유나이티드·준우승, 現 수원삼성블루윙즈 단장), 2020년 김기동 감독에 이은 네 번째다.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