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RTALKOREA] 박윤서 기자= 강원FC가 아시아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ACL) 홈경기 개최지에 대해 춘천시의 명확한 의사 표명을 촉구했다.
강원FC는 17일 오후 춘천송암스포츠타운 주경기장 다목적실에서 ‘ACL 홈경기 개최지 관련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지금까지의 진행 상황을 설명하고 강원FC의 입장을 발표하는 시간이었다. 강원FC는 춘천시의 명확한 의사 표명을 촉구하는 동시에 내년도 K리그 개최지 선정 과정에서 현 상황을 반영하겠다는 의사까지 나타냈다.

이날 기자회견은 김병지 강원FC 대표이사의 성명서 발표로 시작됐다. 김병지 대표이사는 지금까지의 진행 상황을 상세히 알렸다. 강원FC는 지난해 말부터 한국프로축구연맹과 ACL 홈경기 개최지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고 2월부터는 한국프로축구연맹을 통해 AFC와 공식적으로 이메일을 통해서 개최 가능성을 타진했다.
최종적으로 AFC로부터 위치 규정으로 인해 강릉에서 홈경기 ACL 개최가 불가하다는 답변을 받고 춘천시와 협의를 시작하고자 개최 의사를 문의했다. 춘천시는 지난 2일 시설 여건을 이유로 ACL 홈경기 개최가 불가함을 밝혔다. 강원FC는 지난 9일 재차 춘천시의 입장에 대해 물었다.
많은 언론 보도가 나오자 춘천은 지난 14일 공문으로 실무자 회의를 제안하고 강원FC와 협의하겠다는 의사를 언론을 통해 표명했다.

김병지 대표이사는 “강원FC는 ACL은 강릉에서 개최한다는 강릉시와 구단의 협약에 따라 강릉의 개최 여부를 우선적으로 타진했다. 강릉의 불가 판정을 받은 상황에서 춘천과 협의에 나섰다”며 “일각에서는 이제와서 협의를 시작해서 춘천시의 부담이 커졌다는 지적이 있지만 강릉이 개최 불가 판정을 받은 뒤 K리그1의 또다른 홈경기 개최지인 춘천의 의사를 먼저 파악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렇다면 과연 춘천을 패싱하고 제3지역을 알아보는 것이 맞는지 묻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어 “강원FC는 춘천시에 진정으로 개최 의사가 있는지 묻고 싶다. 강원FC는 춘천시의 입장을 언론을 통해서 전해 들어야 했다. 강원FC는 춘천시와 협의 및 ACL 강원도 내 개최가 우선이라는 생각으로 현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며 “춘천에서 홈경기 개최에 대한 의사를 명확히 밝혀주셔야만 강원FC는 다음 스텝으로 나아갈 수 있다. 만약 불가하다면 구단에서 부득이 다음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명확하게 의사를 밝혀주시길 바란다”고 춘천시의 결정을 촉구했다.
김병지 대표이사는 “ACL 경기장 개최를 위한 춘천시의 전제조건을 보면 ACL 홈경기 개최를 원하는 것인지 하지 않을 핑계를 찾는 건지 모르겠다. 구단주님이 강조하는 도민 화합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그간 경영의 어려움이 있더라도 지자체간 차별 없이 구단을 경영해왔다”며 “이번 사안은 춘천시가 언급한 축구전용구장과 전혀 관련이 없다. 의지의 문제임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강하게 발언했다.
이어 “만약 춘천시가 ACL의 개최 의사가 없다면 내년도 K리그1 개최 의지가 있는지도 구단에서는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2026시즌 K리그 개최지 선정까지 현재 상황을 반영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김병지 대표이사는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구단의 의지는 확고하다. 춘천이 개최 분담금을 부담할 수 없다고 하면 구단에서 그 부분까지 감당하겠다”고 춘천 개최를 위한 재정적인 부담까지 감수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 다음은 기자회견 일문일답
구단은 춘천의 개최 의사가 없다면 내년도 K리그 춘천 개최 배제까지 고려하겠다는 것인가?
▶ 고려할 생각이다. 지금과 같이 지속되는 일들로 구단 경영이 어려워지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구단 차원에서 재검토해서 구단주님에게 보고할 것이다.
도내 다른 경기장은 개최 가능성이 있는가?
▶ 도내 다른 도시 모두 어렵다. 원주도 경기장 문제가 있어 현실적으로 어렵다.
현재 상황에 대해 구단주와 협의한 내용이 있는가?
▶ 구단주님은 강원FC 경영에 있어서 철학과 방향성을 말씀해주셨다. 첫째가 도민 화합, 그 다음이 재정 안정화, 마지막이 성적이었다. 그 이외의 모든 축구단 경영에 있어서는 전권을 나에게 주셨다. 구단 운영에 있어 적극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구단주님에게는 ACL 홈경기 개최와 관련해 기자회견을 통해서 ‘구단에서 계획하고 있는 일들을 하겠다’라는 말씀을 드렸다.
춘천과 협의를 해야 하는 마지노선이 있는가?
▶ 당장 내일이라도 말씀 주시면 협의할 의향이 있다. 춘천시와 내부적으로 협의하고 싶다. 내부 검토사항이 외부적으로 먼저 언급돼 책임이 전가됐다고 느낀다. 현재 AFC 출전을 위해 클럽 라이센스 자료 제출이 필요하다. 데드라인은 5월 2일이다. 준비 기간이 필요해 일주일 전인 차주 초까지는 협의가 돼야 한다.
구단의 의지는 확고한지? 재정적인 부분이 걸림돌로 보인다.
▶ 구단의 의지는 확고하다. 가장 좋은 방안은 개최 분담금을 춘천이 지급하는 것이다. 하지만 춘천이 개최 분담금을 부담할 수 없다고 하면 구단에서 그 부분까지 감당하겠다.
용인을 비롯한 타도시도 고려하고 있는가?
▶ 국내외에서 경기 불가 판정을 받아 제3지역에서 경기를 치른 사례가 있다. 춘천이 불가하다면 타지역으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추후 육동한 춘천시장과 만날 의향이 있는가?
▶ 만나야 한다. 얼마 전 전화 통화를 했다. 실무진 회의를 먼저 하고 향후에 만나자는 이야기를 들었다.
사진=강원FC
강원FC는 17일 오후 춘천송암스포츠타운 주경기장 다목적실에서 ‘ACL 홈경기 개최지 관련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지금까지의 진행 상황을 설명하고 강원FC의 입장을 발표하는 시간이었다. 강원FC는 춘천시의 명확한 의사 표명을 촉구하는 동시에 내년도 K리그 개최지 선정 과정에서 현 상황을 반영하겠다는 의사까지 나타냈다.

최종적으로 AFC로부터 위치 규정으로 인해 강릉에서 홈경기 ACL 개최가 불가하다는 답변을 받고 춘천시와 협의를 시작하고자 개최 의사를 문의했다. 춘천시는 지난 2일 시설 여건을 이유로 ACL 홈경기 개최가 불가함을 밝혔다. 강원FC는 지난 9일 재차 춘천시의 입장에 대해 물었다.
많은 언론 보도가 나오자 춘천은 지난 14일 공문으로 실무자 회의를 제안하고 강원FC와 협의하겠다는 의사를 언론을 통해 표명했다.

김병지 대표이사는 “강원FC는 ACL은 강릉에서 개최한다는 강릉시와 구단의 협약에 따라 강릉의 개최 여부를 우선적으로 타진했다. 강릉의 불가 판정을 받은 상황에서 춘천과 협의에 나섰다”며 “일각에서는 이제와서 협의를 시작해서 춘천시의 부담이 커졌다는 지적이 있지만 강릉이 개최 불가 판정을 받은 뒤 K리그1의 또다른 홈경기 개최지인 춘천의 의사를 먼저 파악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렇다면 과연 춘천을 패싱하고 제3지역을 알아보는 것이 맞는지 묻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어 “강원FC는 춘천시에 진정으로 개최 의사가 있는지 묻고 싶다. 강원FC는 춘천시의 입장을 언론을 통해서 전해 들어야 했다. 강원FC는 춘천시와 협의 및 ACL 강원도 내 개최가 우선이라는 생각으로 현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며 “춘천에서 홈경기 개최에 대한 의사를 명확히 밝혀주셔야만 강원FC는 다음 스텝으로 나아갈 수 있다. 만약 불가하다면 구단에서 부득이 다음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명확하게 의사를 밝혀주시길 바란다”고 춘천시의 결정을 촉구했다.
김병지 대표이사는 “ACL 경기장 개최를 위한 춘천시의 전제조건을 보면 ACL 홈경기 개최를 원하는 것인지 하지 않을 핑계를 찾는 건지 모르겠다. 구단주님이 강조하는 도민 화합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그간 경영의 어려움이 있더라도 지자체간 차별 없이 구단을 경영해왔다”며 “이번 사안은 춘천시가 언급한 축구전용구장과 전혀 관련이 없다. 의지의 문제임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강하게 발언했다.
이어 “만약 춘천시가 ACL의 개최 의사가 없다면 내년도 K리그1 개최 의지가 있는지도 구단에서는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2026시즌 K리그 개최지 선정까지 현재 상황을 반영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김병지 대표이사는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구단의 의지는 확고하다. 춘천이 개최 분담금을 부담할 수 없다고 하면 구단에서 그 부분까지 감당하겠다”고 춘천 개최를 위한 재정적인 부담까지 감수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 다음은 기자회견 일문일답
구단은 춘천의 개최 의사가 없다면 내년도 K리그 춘천 개최 배제까지 고려하겠다는 것인가?
▶ 고려할 생각이다. 지금과 같이 지속되는 일들로 구단 경영이 어려워지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구단 차원에서 재검토해서 구단주님에게 보고할 것이다.
도내 다른 경기장은 개최 가능성이 있는가?
▶ 도내 다른 도시 모두 어렵다. 원주도 경기장 문제가 있어 현실적으로 어렵다.
현재 상황에 대해 구단주와 협의한 내용이 있는가?
▶ 구단주님은 강원FC 경영에 있어서 철학과 방향성을 말씀해주셨다. 첫째가 도민 화합, 그 다음이 재정 안정화, 마지막이 성적이었다. 그 이외의 모든 축구단 경영에 있어서는 전권을 나에게 주셨다. 구단 운영에 있어 적극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구단주님에게는 ACL 홈경기 개최와 관련해 기자회견을 통해서 ‘구단에서 계획하고 있는 일들을 하겠다’라는 말씀을 드렸다.
춘천과 협의를 해야 하는 마지노선이 있는가?
▶ 당장 내일이라도 말씀 주시면 협의할 의향이 있다. 춘천시와 내부적으로 협의하고 싶다. 내부 검토사항이 외부적으로 먼저 언급돼 책임이 전가됐다고 느낀다. 현재 AFC 출전을 위해 클럽 라이센스 자료 제출이 필요하다. 데드라인은 5월 2일이다. 준비 기간이 필요해 일주일 전인 차주 초까지는 협의가 돼야 한다.
구단의 의지는 확고한지? 재정적인 부분이 걸림돌로 보인다.
▶ 구단의 의지는 확고하다. 가장 좋은 방안은 개최 분담금을 춘천이 지급하는 것이다. 하지만 춘천이 개최 분담금을 부담할 수 없다고 하면 구단에서 그 부분까지 감당하겠다.
용인을 비롯한 타도시도 고려하고 있는가?
▶ 국내외에서 경기 불가 판정을 받아 제3지역에서 경기를 치른 사례가 있다. 춘천이 불가하다면 타지역으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추후 육동한 춘천시장과 만날 의향이 있는가?
▶ 만나야 한다. 얼마 전 전화 통화를 했다. 실무진 회의를 먼저 하고 향후에 만나자는 이야기를 들었다.
사진=강원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