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1990년대 중반~2010년대 초반 출생자) 취업준비생 10명 중 8명이 '직무급제'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급제는 업무 난이도나 중요도, 전문성 등에 따라 기본급을 차등 지급하는 제도다.
17일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Z세대 구직자 203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3%가 직무급제에 찬성했다. 이들 중 75%는 '업무 가치에 맞는 합리적 보상체계여서'를 찬성 이유로 꼽았다.
이어 △어려운 직무에 도전할 동기가 생겨서(12%) △조직 경쟁력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8%) △연공 서열보다 더 공정한 방식이어서(4%)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급제에 반대하는 응답은 17%였다. △직무 가치 판단 기준이 모호하다(52%) △직무 간 위계·차별 구조 우려(22%) △일부 인기 직무에 쏠림현상 심화(13%) △저평가된 직무 종사자의 의욕 저하(12%) 등으로 집계됐다.
직무 가치를 판단할 때 가장 공정한 기준을 묻는 항목에는 62%(복수응답)가 '직무의 전문성 및 기술 수준'을 꼽았다. △조직 기여도·사업 성과 연계성(33%) △업무 책임감도(26%) △근무 환경 및 위험도(19%) △대체 가능성(9%) 등이 뒤를 이었다.
'희망 직무 입사 이후 더 높은 연봉이 보장되는 직무로 전환 가능하다면 이동할 의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83%가 진로를 바꿀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본부장은 "Z세대는 단순 연차에 따른 보상보다는 실제 일의 가치와 성과 등에 기반한 평가와 보상 체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다만 직무급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명확하고 투명한 직무 가치 기준과 체계적인 설계가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17일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Z세대 구직자 203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3%가 직무급제에 찬성했다. 이들 중 75%는 '업무 가치에 맞는 합리적 보상체계여서'를 찬성 이유로 꼽았다.
이어 △어려운 직무에 도전할 동기가 생겨서(12%) △조직 경쟁력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8%) △연공 서열보다 더 공정한 방식이어서(4%)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급제에 반대하는 응답은 17%였다. △직무 가치 판단 기준이 모호하다(52%) △직무 간 위계·차별 구조 우려(22%) △일부 인기 직무에 쏠림현상 심화(13%) △저평가된 직무 종사자의 의욕 저하(12%) 등으로 집계됐다.
직무 가치를 판단할 때 가장 공정한 기준을 묻는 항목에는 62%(복수응답)가 '직무의 전문성 및 기술 수준'을 꼽았다. △조직 기여도·사업 성과 연계성(33%) △업무 책임감도(26%) △근무 환경 및 위험도(19%) △대체 가능성(9%) 등이 뒤를 이었다.
'희망 직무 입사 이후 더 높은 연봉이 보장되는 직무로 전환 가능하다면 이동할 의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83%가 진로를 바꿀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본부장은 "Z세대는 단순 연차에 따른 보상보다는 실제 일의 가치와 성과 등에 기반한 평가와 보상 체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다만 직무급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명확하고 투명한 직무 가치 기준과 체계적인 설계가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