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탈코리아] 실종자 가족들이 모여 있는 진도군 실내체육관 정문에 기성세대와 정부를 우회적으로 비판한 대자보가 등장했다가 가족의 항의 등으로 철거됐다.
세월호 침몰 사고 일주일째인 22일 “나는 어쩔 수 없는 어른이 되지 않겠습니다”로 시작하는 3장짜리 대자보가 붙었다.
첫 장은 “재난사고 어쩔 수 없었다. 아는 게 없어서 어쩔 수 없었다. 돈이 많이 들어 어쩔 수 없었다. 지위가 높으신 분이라 어쩔 수 없었다. 내가 살려면 어쩔 수 없었다. 내 나라가 대한민국이라 어쩔 수 없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사고에 대해 변명만 늘어놓은 정부기관의 모습을 꼬집은 것이다. 이어 “세월호는 소시민의 거울상이다. 책임을 다한 사람들은 피해를 보고 결국에 이기적인 것들은 살아남았다”며 무책임함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둘째 장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이번 사고와 관련해 책임을 묻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최근 발언을 언급하며 “수많은 사람의 생명이 달린 직업에 1년 계약직으로 채용하는 게 맞느냐고 먼저 묻고 싶다”로 시작했다.
또 “몇백 명의 목숨이 왔다갔다하는 직업에 비정규직을 채용하는 사회를 만든 우리가, 1년 계약직 선장에게 책임에 대해 묻는 것은 책임 전가는 아닌지”라며 의문을 던졌다.
마지막 장에선 “’세월’따위로 이 많은 사람 보내려니 마음이 아려온다. 또 내가 참담한 ‘세월’을 몇십년 더 보내려니 착잡한 마음이 끝까지 올라온다. 더 이상의 인명피해 없이 무사귀환 간절히 바랍니다”고 적혀 있다.
비정규직 문제 등을 지적하고 우리의 책임을 묻는 부분에선 지난해 12월 온·오프라인에서 반향을 일으켰던 ‘안녕들하십니까’를 떠올리게 한다.
이 대자보는 스무 살의 여성 자원봉사자가 쓴 것으로 실종 고교생 친누나의 친구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세월호 침몰 사고 일주일째인 22일 “나는 어쩔 수 없는 어른이 되지 않겠습니다”로 시작하는 3장짜리 대자보가 붙었다.
첫 장은 “재난사고 어쩔 수 없었다. 아는 게 없어서 어쩔 수 없었다. 돈이 많이 들어 어쩔 수 없었다. 지위가 높으신 분이라 어쩔 수 없었다. 내가 살려면 어쩔 수 없었다. 내 나라가 대한민국이라 어쩔 수 없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사고에 대해 변명만 늘어놓은 정부기관의 모습을 꼬집은 것이다. 이어 “세월호는 소시민의 거울상이다. 책임을 다한 사람들은 피해를 보고 결국에 이기적인 것들은 살아남았다”며 무책임함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둘째 장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이번 사고와 관련해 책임을 묻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최근 발언을 언급하며 “수많은 사람의 생명이 달린 직업에 1년 계약직으로 채용하는 게 맞느냐고 먼저 묻고 싶다”로 시작했다.
또 “몇백 명의 목숨이 왔다갔다하는 직업에 비정규직을 채용하는 사회를 만든 우리가, 1년 계약직 선장에게 책임에 대해 묻는 것은 책임 전가는 아닌지”라며 의문을 던졌다.
마지막 장에선 “’세월’따위로 이 많은 사람 보내려니 마음이 아려온다. 또 내가 참담한 ‘세월’을 몇십년 더 보내려니 착잡한 마음이 끝까지 올라온다. 더 이상의 인명피해 없이 무사귀환 간절히 바랍니다”고 적혀 있다.
비정규직 문제 등을 지적하고 우리의 책임을 묻는 부분에선 지난해 12월 온·오프라인에서 반향을 일으켰던 ‘안녕들하십니까’를 떠올리게 한다.
이 대자보는 스무 살의 여성 자원봉사자가 쓴 것으로 실종 고교생 친누나의 친구라고 자신을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