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쯤 되면 ‘집단 방화’다. 마치 전염병 같다. 날마다 애간장을 태우면서 ‘대형 화재’를 지켜봐야 한다.
롯데 불펜은 불펜이 아니다. 아무리 확실한 마무리 투수가 없지만 해도 너무한다. 선발 투수나 타자들에게 고개를 들 수가 없을 정도다.
이종운 롯데 감독은 22일 광주 KIA전에서 7-6으로 힘겹게 1점차로 이겨 최근 4연패, 원정 7연패 등을 동시에 마감했다. 그러나 불펜 투수들을 재편할 것임 분명히 했다. 누가 봐도 이건 아닌 탓이다.
롯데는 이날 선발 이상화의 호투, 강민호와 최준석의 홈런, 황재균의 도망가는 타점이 모두 5회 이전에 터지면서 7-1로 앞서 나갔다. KIA 벤치에서도 선발 험버를 6회부터 홍건희로 교체했고, 타선에서도 주전들을 하나 둘 교체했다.
그러나 7-2로 앞선 8회말부터 ‘방화’가 시작됐다. 선두타자 4번 나지완을 잠수함 투수 김성배가 유격수 땅볼로 잡아내자, 왼손타자 5번 최희섭의 타석 때 왼손 투수 심규범을 마운드에 올렸다. 삼진으로 돌려 세웠다. 아웃 카운트 1개만 더 잡으면 이닝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6번 이범호의 타석에 심규범 대신 오른손 투수 홍성민을 투입했다. 좌전안타를 맞았다. 7번 김다원에게 유격수 내야 안타, 8번 이홍구에게 2타점 좌중간 2루타, 9번 최용규에게 1타점 좌전안타를 연달아 맞았다. 4연속 안타로 손식간에 3점을 내주고 7-5까지 추격 당했다.
벤치가 급해졌다. 부랴부랴 홍성민을 내리고 1번 김효령의 타석부터 김승회를 마운드에 올렸다. 김승회가 김효령을 삼진으로 솎아내 한숨을 돌렸다.
그러나 위기는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9회말 또 찾아왔다.
김승회는 1사 후 3번 필에게 좌익선상 2루타를 맞았다. 4번 나지완을 우익수 플라이로 잡아 승부를 마무리하는 듯 했다. 아니었다. 1사 2루에서 5번 최희섭에게 1타점 중전안타를 허용해 7-6으로 턱밑까지 추격을 허용했다.
김기태 KIA 감독 최희섭 대신 투수 문경찬을 대주자로 내세우면서 마지막 승부를 걸었다. 6번 자리에는 대주자였던 최병연 대신 힘이 있는 박기남을 대타로 썼다. 2루 내야 안타를 또 내줬다. 2사 1, 2루다. 단타에 7-7 동점, 큰 것을 맞으면 7-8 역전까지 가능한 위기다.
7번 김다원에게 다시 몸에 맞는 공을 던져 2사 만루가 됐다. 벤치에서도 속수무책이었다.
김승회는 연신 땀을 흘렸다. 죽이 되든 밥이 되든 마지막 타자는 9회 수비부터 포수 마스크를 썼던 8번 차일목이었다. 쉽지 않았다. 풀카운트까지 갔다.
7-6, 9회말 2사 만루, 풀카운트. 공 하나가 볼로 판정나면 7-7 동점이 되고 안타를 1개 맞으면 7-8로 역전패다.
지난 18일 잠실 두산전에서 9회말 최주환에게 맞은 끝내기 3점홈런, 지난 16일 부산 NC전에서 정말 오랜만에 역투한 선발 심수창의 승리를 만들어주지 못한 일이 팬들의 뇌리를 스쳐갔다.
이종운 감독을 비롯한 벤치의 선수들은 물론 그라운드의 선수들도 마찬가지였다.
지난 14일 부산 NC전에서 5-2로 앞서다 8회초 2점을 내주면서 쩔쩔 매던 일도 떠올랐다.
특히 지난 10일 부산 사직구장에서 열린 한화와의 연장 11회 승부가 더욱 또렷하게 되살아 났다. 당시 롯데는 7회까지 8-2로 앞섰다. 그냥 이기는 경기였다. 그러나 8회초 1점을 내주면서 이상해졌다. 9회초 무려 5점을 허용하면서 8-8 동점으로 연장에 들어갔다.
연장 11회초 다시 1점을 먼저 내줘 8-9로 내몰렸다. 그나마 연장 11회말 장성우의 끝내기 2점 홈런으로 10-9로 이겼다. 진땀이 나는 정도가 아니었다.
연패 탈출이 절실했던 광주 KIA전에서도 이런 악몽이 데자뷰 됐으니 반드시 되짚어봐야 할 과제다.
롯데 불펜은 왜 ‘집단 방화’에 나서는 것일까.
첫째, 확실한 전문 마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이종운 감독은 올 시즌 시작과 함께 김승회, 김성배를 ‘더블 스토퍼’로 활용한다는 복안이었다. 30대 중반이라는 나이와 둘 다 힘으로 상대 타자들을 윽박지를 수 있는 스타일이 아닌 탓이었다.
그러나 김승회가 흔들렸다. 구위가 기대 이하인데다 경기 운영 능력 역시 믿음을 주지 못하자 지난 14일과 15일 부산 NC전 때 중간에서 점검했다. 그 사이에 뒷문은 이정민을 대안으로 준비했다.
이젠 힘이 있는 없든, 경기 운영을 잘 하든 못 하든 누군가에게 분명하게 마무리로서의 강한 책임감을 심어줘야 한다.
둘째, 롯데 불펜에는 ‘필승조’라는 개념이 없다. 그저 그날그날 상황에 맞춰 좌우 투수들을 번갈아 투입한다. 물론 연투는 관리해준다.
올 시즌 개막 이후 롯데 불펜에는 왼손 투수 이명우와 심규범, 사이드암 김성배와 배장호, 스리쿼터 홍성민, 베테랑 오른손 투수 정재훈, 김승회, 이정민에다 아주 빠른 공을 지닌 최대성과 젊은 이인복 등이 포진해 있었다.
그러나 누가 ‘필승조’인지 알쏭달쏭하다. ‘전원 필승, 전원 패전’이라고 봐도 할 말이 없을 지경이다. '좌우 놀이'에 빠져 역할이 왔다 갔다 하면 모든 것이 헷갈린다. 그날그날만 생각할 따름이다. 동기 부여를 해야 한다.
롯데는 22일 현재 10승9패를 기록하고 있다. 19게임에서 홀드 8개와 세이브 3개를 따냈다. 반면 14승5패로 1위를 달리고 있는 삼성은 12홀드와 5세이브를 따내고 있다. 삼성은 ‘지키는 야구’를 해내고 있지만 롯데는 불펜이 부실하다는 의미다.
넥센의 경우 3홀드와 2세이브 밖에 올리지 못하고 있다. 선발과 중간이 함께 붕괴된 탓이다.
지금 롯데는 책임감을 더 느낄 수 있고, 성적으로 보상 받을 수 있는 '필승 계투조‘를 꾸려야 한다. 아직 갈 길이 멀다. 이제 실험을 끝내야 한다. 144경기를 제대로 마무리하려면 이제라도 분명한 역할과 책임, 충분한 시간을 줘야 한다.
‘불펜 방화’를 최소화하면서 ‘계산된 야구’를 하려면 달리 방법이 없다. 약한 잇몸에도 각자의 역할이 있음을 분명하게 일깨워주는 것이 첫 번째 해결책이다. <뉴스1스포츠 국장>
롯데 불펜은 불펜이 아니다. 아무리 확실한 마무리 투수가 없지만 해도 너무한다. 선발 투수나 타자들에게 고개를 들 수가 없을 정도다.
이종운 롯데 감독은 22일 광주 KIA전에서 7-6으로 힘겹게 1점차로 이겨 최근 4연패, 원정 7연패 등을 동시에 마감했다. 그러나 불펜 투수들을 재편할 것임 분명히 했다. 누가 봐도 이건 아닌 탓이다.
롯데는 이날 선발 이상화의 호투, 강민호와 최준석의 홈런, 황재균의 도망가는 타점이 모두 5회 이전에 터지면서 7-1로 앞서 나갔다. KIA 벤치에서도 선발 험버를 6회부터 홍건희로 교체했고, 타선에서도 주전들을 하나 둘 교체했다.
그러나 7-2로 앞선 8회말부터 ‘방화’가 시작됐다. 선두타자 4번 나지완을 잠수함 투수 김성배가 유격수 땅볼로 잡아내자, 왼손타자 5번 최희섭의 타석 때 왼손 투수 심규범을 마운드에 올렸다. 삼진으로 돌려 세웠다. 아웃 카운트 1개만 더 잡으면 이닝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6번 이범호의 타석에 심규범 대신 오른손 투수 홍성민을 투입했다. 좌전안타를 맞았다. 7번 김다원에게 유격수 내야 안타, 8번 이홍구에게 2타점 좌중간 2루타, 9번 최용규에게 1타점 좌전안타를 연달아 맞았다. 4연속 안타로 손식간에 3점을 내주고 7-5까지 추격 당했다.
벤치가 급해졌다. 부랴부랴 홍성민을 내리고 1번 김효령의 타석부터 김승회를 마운드에 올렸다. 김승회가 김효령을 삼진으로 솎아내 한숨을 돌렸다.
그러나 위기는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9회말 또 찾아왔다.
김승회는 1사 후 3번 필에게 좌익선상 2루타를 맞았다. 4번 나지완을 우익수 플라이로 잡아 승부를 마무리하는 듯 했다. 아니었다. 1사 2루에서 5번 최희섭에게 1타점 중전안타를 허용해 7-6으로 턱밑까지 추격을 허용했다.
김기태 KIA 감독 최희섭 대신 투수 문경찬을 대주자로 내세우면서 마지막 승부를 걸었다. 6번 자리에는 대주자였던 최병연 대신 힘이 있는 박기남을 대타로 썼다. 2루 내야 안타를 또 내줬다. 2사 1, 2루다. 단타에 7-7 동점, 큰 것을 맞으면 7-8 역전까지 가능한 위기다.
7번 김다원에게 다시 몸에 맞는 공을 던져 2사 만루가 됐다. 벤치에서도 속수무책이었다.
김승회는 연신 땀을 흘렸다. 죽이 되든 밥이 되든 마지막 타자는 9회 수비부터 포수 마스크를 썼던 8번 차일목이었다. 쉽지 않았다. 풀카운트까지 갔다.
7-6, 9회말 2사 만루, 풀카운트. 공 하나가 볼로 판정나면 7-7 동점이 되고 안타를 1개 맞으면 7-8로 역전패다.
지난 18일 잠실 두산전에서 9회말 최주환에게 맞은 끝내기 3점홈런, 지난 16일 부산 NC전에서 정말 오랜만에 역투한 선발 심수창의 승리를 만들어주지 못한 일이 팬들의 뇌리를 스쳐갔다.
이종운 감독을 비롯한 벤치의 선수들은 물론 그라운드의 선수들도 마찬가지였다.
지난 14일 부산 NC전에서 5-2로 앞서다 8회초 2점을 내주면서 쩔쩔 매던 일도 떠올랐다.
특히 지난 10일 부산 사직구장에서 열린 한화와의 연장 11회 승부가 더욱 또렷하게 되살아 났다. 당시 롯데는 7회까지 8-2로 앞섰다. 그냥 이기는 경기였다. 그러나 8회초 1점을 내주면서 이상해졌다. 9회초 무려 5점을 허용하면서 8-8 동점으로 연장에 들어갔다.
연장 11회초 다시 1점을 먼저 내줘 8-9로 내몰렸다. 그나마 연장 11회말 장성우의 끝내기 2점 홈런으로 10-9로 이겼다. 진땀이 나는 정도가 아니었다.
연패 탈출이 절실했던 광주 KIA전에서도 이런 악몽이 데자뷰 됐으니 반드시 되짚어봐야 할 과제다.
롯데 불펜은 왜 ‘집단 방화’에 나서는 것일까.
첫째, 확실한 전문 마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이종운 감독은 올 시즌 시작과 함께 김승회, 김성배를 ‘더블 스토퍼’로 활용한다는 복안이었다. 30대 중반이라는 나이와 둘 다 힘으로 상대 타자들을 윽박지를 수 있는 스타일이 아닌 탓이었다.
그러나 김승회가 흔들렸다. 구위가 기대 이하인데다 경기 운영 능력 역시 믿음을 주지 못하자 지난 14일과 15일 부산 NC전 때 중간에서 점검했다. 그 사이에 뒷문은 이정민을 대안으로 준비했다.
이젠 힘이 있는 없든, 경기 운영을 잘 하든 못 하든 누군가에게 분명하게 마무리로서의 강한 책임감을 심어줘야 한다.
둘째, 롯데 불펜에는 ‘필승조’라는 개념이 없다. 그저 그날그날 상황에 맞춰 좌우 투수들을 번갈아 투입한다. 물론 연투는 관리해준다.
올 시즌 개막 이후 롯데 불펜에는 왼손 투수 이명우와 심규범, 사이드암 김성배와 배장호, 스리쿼터 홍성민, 베테랑 오른손 투수 정재훈, 김승회, 이정민에다 아주 빠른 공을 지닌 최대성과 젊은 이인복 등이 포진해 있었다.
그러나 누가 ‘필승조’인지 알쏭달쏭하다. ‘전원 필승, 전원 패전’이라고 봐도 할 말이 없을 지경이다. '좌우 놀이'에 빠져 역할이 왔다 갔다 하면 모든 것이 헷갈린다. 그날그날만 생각할 따름이다. 동기 부여를 해야 한다.
롯데는 22일 현재 10승9패를 기록하고 있다. 19게임에서 홀드 8개와 세이브 3개를 따냈다. 반면 14승5패로 1위를 달리고 있는 삼성은 12홀드와 5세이브를 따내고 있다. 삼성은 ‘지키는 야구’를 해내고 있지만 롯데는 불펜이 부실하다는 의미다.
넥센의 경우 3홀드와 2세이브 밖에 올리지 못하고 있다. 선발과 중간이 함께 붕괴된 탓이다.
지금 롯데는 책임감을 더 느낄 수 있고, 성적으로 보상 받을 수 있는 '필승 계투조‘를 꾸려야 한다. 아직 갈 길이 멀다. 이제 실험을 끝내야 한다. 144경기를 제대로 마무리하려면 이제라도 분명한 역할과 책임, 충분한 시간을 줘야 한다.
‘불펜 방화’를 최소화하면서 ‘계산된 야구’를 하려면 달리 방법이 없다. 약한 잇몸에도 각자의 역할이 있음을 분명하게 일깨워주는 것이 첫 번째 해결책이다. <뉴스1스포츠 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