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뉴스 | 김혜림 기자]
일반공모 유상증자에 대한 금융감독원이 정정 요구에 대해 고려아연이 어떤 대답을 내놓을지 시장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번주 중반 결론이 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여의도에서 철회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관측이 나오는 있다. 이 때문에 향후 열릴 임시주총과 정기주주총회 승리를 위한 의결권 확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거란 분석이 나온다.
고려아연과 MBK·영풍 양측 모두 의결권 지분 과반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결국 누가 남은 주주와 투자자들을 설득할 수 있느냐가 승패를 가를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일단 MBK·영풍이 지분을 더 많이 확보했다는 점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한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하지만 정작 주총 표대결은 가늠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금까지 기관 및 소액주주들의 투표 관행을 고려하면 고려아연의 현경영진이 유리하다는 해석도 없지 않다.
실제로 그간 고려아연 우호지분으로 분류됐던 주주들은 고려아연 측 인사와의 사적 인연이나 친분이 아닌 실제적인 사업협력과 시너지, 미래성장동력 등 사업적 결속력을 기반으로 의결권을 행사해왔다.
이들은 최근 공개매수와 과정에서 직접 나서지는 않았지만, 표 대결에서만큼은 MBK·영풍보다는 고려아연의 현 경영진에 손을 들어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현재 양측이 확보한 지분은 고려아연의 경우 베인캐피탈 보유분과 자사주 활용 등을 감안하면 시장에선 36~37% 수준으로 추산하고 있다. 영풍과 MBK측은 최근 공시까지 더해 40% 수준의 지분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아연이 보유한 자사주 공개매수 물량의 소각까지 감안하면 고려아연 현경영진 측은 40~41%, 영풍과 MBK측은 44% 수준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일부 물량을 매각했지만 여전히 상당수의 지분을 보유한 국민연금과 국내외 기관투자자, 그리고 소액주주 등 16%의 주주들이 사실상 표심을 가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관건은 의결권 행사를 위한 표심을 누가 잡을 수 있느냐다.
고려아연의 현경영진이 강조하고 있는 경영 능력과 비전에 손을 들어줄지 영풍과 MBK가 주장하는 거버넌스에 가산점을 줄지 여부다.
이를 위해 영풍과 MBK는 집행임원제와 14명에 달하는 신규 이사 선임의 건을 내놓으며 임시주총을 열겠다고 법원에 신청한 상태다.
업계에선 실제 임시주총이 열리고 표대결이 이뤄질 경우 지금까지와는 다소 다른 양상이 전개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MBK와 영풍이 지난 9월 13일 기습 공개매수를 발표한 뒤 지금까지는 공개매수 기간이나 가격, 법적 리스크 등을 활용한 MBK 측의 기교가 힘을 발휘해 왔다. 국내 자본시장을 쥐락펴락 해온 MBK가 이번에도 노련한 전략으로 투자자와 주주들 지분 매입·매도를 통한 수익률을 따져 움직이도록 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주주 구성이 확정된 뒤 열리는 주주총회에서는 선택의 기준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당장의 투자 수익 회수보다는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과 비전, 향후 사업 협력의 필요성 등을 고려한 결정이 이뤄질 거라는 분석이다. 시장에서 고려아연의 우호 세력으로 분류해 온 한화와 LG, 현대차뿐만 아니라 국내 연기금과 외국인 투자자, 소액주주 의결권 대행 기관들 역시 이런 기준을 적용할 수밖에 없을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시장에서는 고려아연이 추진한 일반공모 유상증자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있었다는 점에서 기존 주주들의 표심이 흔들릴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같은 시기 영풍과 MBK에서 더 큰 악재가 터지면서 주주들의 머리가 복잡해졌다는 분석이다. 영풍의 경우 석포제련소 조업정지 60일 확정 판결 소식이 전해진 데 이어, 최근 점검에서 또다시 위반 사항이 적발되면서 추가 조업정지 10일 처분을 받을 거라는 사실이 알려졌다. 영풍의 경영 능력에 대한 의구심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는 지점이다. MBK에 대한 부정 여론 속에 잇따라 주요공적기금의 위탁운용사 선정에서 MBK 탈락하며 정부와 국민의 시선이 곱지 않다.
올해 연말 발표 예정인 군인공제회 출자 사업에서도 이런 기류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올해 3월 열린 고려아연의 주주총회에서도 당장의 배당금 수익 확대보다는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경영진의 손을 들어주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 당시 고려아연 이사회는 1주당 5000원의 결산 배당을 의결했고, 영풍은 1주당 1만 원의 안건을 올렸다. 결국 고려아연 이사회 원안이 62.74%의 찬성을 통과했다.
당시 영풍 측 지분이 약 32%가량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영풍 측을 제외한 대부분 주주가 단기 배당금 확대보다는 향후 기업 가치 제고에 손을 들어줬던 것으로 분석된다. 당시 국민연금 역시 고려아연 측의 안건에 모두 찬성표를 던진 바 있다. 국민연금은 최근 5년간 고려아연 측의 주주총회 안건 중 92.5%에 찬성하는 등 고려아연의 경영 전략과 성과에 공감을 표해왔다. 이미 주주들의 기류 변화가 읽히고 있다. 올해 국정감사에서 국민연금은 고려아연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를 두고 "장기수익률 제고 측면에서 판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의 경우 "산업 생태계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문제가 잘 해결됐으면 한다"고 언급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단기 투자 수익이 기준이 되는 공개매수와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더욱 중점적으로 따지는 주주총회 표 대결은 양상이 전혀 다를 수밖에 없다"며 "그간 MBK가 공개매수 제도를 노련하게 활용해 선방한 것처럼 보이겠지만, 이제 남아 있는 주주들의 경우 단기 이익보다는 고려아연의 장기 성장 가능성을 따지는 투자자이거나 사업 협력이 필요한 이들만 남았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주주총회에서 MBK과 영풍이 이런 주주들을 설득할 명분은 빈약한 게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김혜림 기자 khr0731@mtstarnews.com
ⓒ 스타뉴스 & starnewskore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려아연 본사 내부. 사진제공=뉴시스 /사진=김금보 |
고려아연과 MBK·영풍 양측 모두 의결권 지분 과반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결국 누가 남은 주주와 투자자들을 설득할 수 있느냐가 승패를 가를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일단 MBK·영풍이 지분을 더 많이 확보했다는 점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한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하지만 정작 주총 표대결은 가늠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금까지 기관 및 소액주주들의 투표 관행을 고려하면 고려아연의 현경영진이 유리하다는 해석도 없지 않다.
실제로 그간 고려아연 우호지분으로 분류됐던 주주들은 고려아연 측 인사와의 사적 인연이나 친분이 아닌 실제적인 사업협력과 시너지, 미래성장동력 등 사업적 결속력을 기반으로 의결권을 행사해왔다.
이들은 최근 공개매수와 과정에서 직접 나서지는 않았지만, 표 대결에서만큼은 MBK·영풍보다는 고려아연의 현 경영진에 손을 들어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현재 양측이 확보한 지분은 고려아연의 경우 베인캐피탈 보유분과 자사주 활용 등을 감안하면 시장에선 36~37% 수준으로 추산하고 있다. 영풍과 MBK측은 최근 공시까지 더해 40% 수준의 지분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아연이 보유한 자사주 공개매수 물량의 소각까지 감안하면 고려아연 현경영진 측은 40~41%, 영풍과 MBK측은 44% 수준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일부 물량을 매각했지만 여전히 상당수의 지분을 보유한 국민연금과 국내외 기관투자자, 그리고 소액주주 등 16%의 주주들이 사실상 표심을 가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관건은 의결권 행사를 위한 표심을 누가 잡을 수 있느냐다.
고려아연의 현경영진이 강조하고 있는 경영 능력과 비전에 손을 들어줄지 영풍과 MBK가 주장하는 거버넌스에 가산점을 줄지 여부다.
이를 위해 영풍과 MBK는 집행임원제와 14명에 달하는 신규 이사 선임의 건을 내놓으며 임시주총을 열겠다고 법원에 신청한 상태다.
업계에선 실제 임시주총이 열리고 표대결이 이뤄질 경우 지금까지와는 다소 다른 양상이 전개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MBK와 영풍이 지난 9월 13일 기습 공개매수를 발표한 뒤 지금까지는 공개매수 기간이나 가격, 법적 리스크 등을 활용한 MBK 측의 기교가 힘을 발휘해 왔다. 국내 자본시장을 쥐락펴락 해온 MBK가 이번에도 노련한 전략으로 투자자와 주주들 지분 매입·매도를 통한 수익률을 따져 움직이도록 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주주 구성이 확정된 뒤 열리는 주주총회에서는 선택의 기준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당장의 투자 수익 회수보다는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과 비전, 향후 사업 협력의 필요성 등을 고려한 결정이 이뤄질 거라는 분석이다. 시장에서 고려아연의 우호 세력으로 분류해 온 한화와 LG, 현대차뿐만 아니라 국내 연기금과 외국인 투자자, 소액주주 의결권 대행 기관들 역시 이런 기준을 적용할 수밖에 없을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시장에서는 고려아연이 추진한 일반공모 유상증자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있었다는 점에서 기존 주주들의 표심이 흔들릴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같은 시기 영풍과 MBK에서 더 큰 악재가 터지면서 주주들의 머리가 복잡해졌다는 분석이다. 영풍의 경우 석포제련소 조업정지 60일 확정 판결 소식이 전해진 데 이어, 최근 점검에서 또다시 위반 사항이 적발되면서 추가 조업정지 10일 처분을 받을 거라는 사실이 알려졌다. 영풍의 경영 능력에 대한 의구심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는 지점이다. MBK에 대한 부정 여론 속에 잇따라 주요공적기금의 위탁운용사 선정에서 MBK 탈락하며 정부와 국민의 시선이 곱지 않다.
올해 연말 발표 예정인 군인공제회 출자 사업에서도 이런 기류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올해 3월 열린 고려아연의 주주총회에서도 당장의 배당금 수익 확대보다는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경영진의 손을 들어주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 당시 고려아연 이사회는 1주당 5000원의 결산 배당을 의결했고, 영풍은 1주당 1만 원의 안건을 올렸다. 결국 고려아연 이사회 원안이 62.74%의 찬성을 통과했다.
당시 영풍 측 지분이 약 32%가량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영풍 측을 제외한 대부분 주주가 단기 배당금 확대보다는 향후 기업 가치 제고에 손을 들어줬던 것으로 분석된다. 당시 국민연금 역시 고려아연 측의 안건에 모두 찬성표를 던진 바 있다. 국민연금은 최근 5년간 고려아연 측의 주주총회 안건 중 92.5%에 찬성하는 등 고려아연의 경영 전략과 성과에 공감을 표해왔다. 이미 주주들의 기류 변화가 읽히고 있다. 올해 국정감사에서 국민연금은 고려아연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를 두고 "장기수익률 제고 측면에서 판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의 경우 "산업 생태계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문제가 잘 해결됐으면 한다"고 언급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단기 투자 수익이 기준이 되는 공개매수와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더욱 중점적으로 따지는 주주총회 표 대결은 양상이 전혀 다를 수밖에 없다"며 "그간 MBK가 공개매수 제도를 노련하게 활용해 선방한 것처럼 보이겠지만, 이제 남아 있는 주주들의 경우 단기 이익보다는 고려아연의 장기 성장 가능성을 따지는 투자자이거나 사업 협력이 필요한 이들만 남았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주주총회에서 MBK과 영풍이 이런 주주들을 설득할 명분은 빈약한 게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김혜림 기자 khr0731@mtstarnews.com
ⓒ 스타뉴스 & starnewskore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