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뉴스 | 종로구=김나연 기자]
'로비'에 출연한 김의성이 캐릭터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28일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영화 '로비'(감독 하정우)의 김의성과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영화 로비'는 연구 밖에 모르던 스타트업 대표 창욱(하정우 분)이 4조 원의 국책사업을 따내기 위해 인생 첫 로비 골프를 시작하는 이야기. 김의성은 원리원칙주의자인 것처럼 굴지만 욕망 앞에서 흔들리는 정치권 실세 최실장 역할을 맡았다.
김의성은 '로비'의 캐스팅을 제안받고, 망설였다고 밝혔다. 그는 "캐릭터 때문은 아니고, 이 영화 자체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하정우 감독의 소위 코드가 저에게는 너무 하이 코드였다. 재밌는 부분도 있지만, '이게 이야기가 될까?' 싶었고, 하정우 감독에게 공감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이해하는 데 허들이 있는 사람도 있는데 저도 후자였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출연을 고민했는데 일단 감독 하정우랑 일해보고 싶었고, 후배 하정우와 오랫동안 쌓아온 좋은 인연도 있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면 좋겠다는 마음도 있었다"고 전했다.
특히 김의성은 최실장 캐릭터에 대해 "현장에서부터 모니터 보며 생각이 많아졌다. 이 사회에서 아저씨로 살아간다는 게"라고 고개를 저으며 "사람은 누구나 약점이 있는데 크게 악의를 갖지 않더라도 그 약점이 드러나는 순간 너무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더라"라고 말했다.
그는 시쳇말로 '개저씨'(개와 아저씨의 합성어로, 중장년층 남성 중에서 무개념인 사람을 비하하는 표현) 캐릭터를 연기한 데 대해 "배우로서는 항상 제가 맡은 캐릭터를 사랑하고, 아무리 남들이 손가락질하더라도 나는 캐릭터를 이해하고 연기할 수 있다. 이번 역할도 비극적인 결함이 있지만, 그래도 나머지 부분에서는 긍정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연기했다. 그냥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에게 멋지게 보이겠다는 마음인 인물이라고 생각하고 연기했는데 결과물이 너무 심각하더라. '평소에도 살 때 조심해야겠다. 남들에게 멋있어 보이려는 노력도 하면 안 되겠다'라고 느꼈다. 담백하고, 겸손하고, 무해하게 살아야겠다"고 밝혔다.
이어 "본인은 선의라고 생각하는데 그 선의가 객관화됐을 때 얼마나 끔찍한지를 보여주는 캐릭터다. 선의와 호의,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선의나 호의조차도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우선시 돼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부산행' 캐릭터와 비교하며 "그 캐릭터도 좋아했는데 뒤에 폭주할 때는 '이건 좀' 싶더라. 근데 최실장 캐릭터는 비교적 끝까지 이해할 수 있는 캐릭터였다. 용서되진 않더라도 이해되고, 어느 부분에선 안쓰럽기도 하다. 제가 연기했던 캐릭터보다 재밌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종로구=김나연 기자 ny0119@mtstarnews.com
ⓒ 스타뉴스 & starnewskore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김의성 / 사진=쇼박스 |
28일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영화 '로비'(감독 하정우)의 김의성과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영화 로비'는 연구 밖에 모르던 스타트업 대표 창욱(하정우 분)이 4조 원의 국책사업을 따내기 위해 인생 첫 로비 골프를 시작하는 이야기. 김의성은 원리원칙주의자인 것처럼 굴지만 욕망 앞에서 흔들리는 정치권 실세 최실장 역할을 맡았다.
김의성은 '로비'의 캐스팅을 제안받고, 망설였다고 밝혔다. 그는 "캐릭터 때문은 아니고, 이 영화 자체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하정우 감독의 소위 코드가 저에게는 너무 하이 코드였다. 재밌는 부분도 있지만, '이게 이야기가 될까?' 싶었고, 하정우 감독에게 공감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이해하는 데 허들이 있는 사람도 있는데 저도 후자였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출연을 고민했는데 일단 감독 하정우랑 일해보고 싶었고, 후배 하정우와 오랫동안 쌓아온 좋은 인연도 있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면 좋겠다는 마음도 있었다"고 전했다.
특히 김의성은 최실장 캐릭터에 대해 "현장에서부터 모니터 보며 생각이 많아졌다. 이 사회에서 아저씨로 살아간다는 게"라고 고개를 저으며 "사람은 누구나 약점이 있는데 크게 악의를 갖지 않더라도 그 약점이 드러나는 순간 너무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더라"라고 말했다.
그는 시쳇말로 '개저씨'(개와 아저씨의 합성어로, 중장년층 남성 중에서 무개념인 사람을 비하하는 표현) 캐릭터를 연기한 데 대해 "배우로서는 항상 제가 맡은 캐릭터를 사랑하고, 아무리 남들이 손가락질하더라도 나는 캐릭터를 이해하고 연기할 수 있다. 이번 역할도 비극적인 결함이 있지만, 그래도 나머지 부분에서는 긍정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연기했다. 그냥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에게 멋지게 보이겠다는 마음인 인물이라고 생각하고 연기했는데 결과물이 너무 심각하더라. '평소에도 살 때 조심해야겠다. 남들에게 멋있어 보이려는 노력도 하면 안 되겠다'라고 느꼈다. 담백하고, 겸손하고, 무해하게 살아야겠다"고 밝혔다.
이어 "본인은 선의라고 생각하는데 그 선의가 객관화됐을 때 얼마나 끔찍한지를 보여주는 캐릭터다. 선의와 호의,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선의나 호의조차도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우선시 돼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부산행' 캐릭터와 비교하며 "그 캐릭터도 좋아했는데 뒤에 폭주할 때는 '이건 좀' 싶더라. 근데 최실장 캐릭터는 비교적 끝까지 이해할 수 있는 캐릭터였다. 용서되진 않더라도 이해되고, 어느 부분에선 안쓰럽기도 하다. 제가 연기했던 캐릭터보다 재밌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종로구=김나연 기자 ny0119@mtstarnews.com
ⓒ 스타뉴스 & starnewskore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