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뉴스 | 전시윤 기자]
의약품 도소매 업체인 지오영의 최대주주 조선혜지와이홀딩스(이하 조선혜지와이)가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에 인수되자마자 유상감자로 약 2700억 원을 주주들에게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수 직후 유상감자로 회사에서 현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사례가 또다시 재연되면서 차입매수에 따른 알짜자산 매각 등으로 홈플러스 사태를 초래한 대주주 MBK에 대한 여론이 더욱 악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인수한 기업의 재무 상황이나 실적 등을 고려하지 않고 투자금 회수 용도로만 여기는 행태를 반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조선혜지와이는 지난해 약 2746억 원 규모의 유상감자를 단행해 그만큼의 자본이 감소했다. 유상감자는 자본의 일부를 주주들에게 현금으로 돌려주는 걸 말한다. 자본이 감소하기 때문에 부채비율이 상승하는 등 재무구조가 부실해질 우려가 있지만, 일종의 주주환원이라는 점에서 당장 주주 입장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주목되는 점은 유상감자 시기다. 조선혜지와이 법인등기에 따르면 유상감자로 인한 자본금 감소는 지난해 7월 초에 이뤄졌다. 지난해 7월 초면 MBK가 조선혜지와이 지분 71.6%를 취득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선 지 약 한 달이 지난 시점이다. MBK가 최대주주로 올라서고 MBK 인사들로 이사회 구성원이 바뀌자마자 유상감자로 약 2000억 원(2746억 원의 71.6%)을 회수했다고 여겨지는 대목이다.
문제는 대규모 유상감자로 조선혜지와이 재무구조가 더욱더 부실해졌다는 점이다. 2023년 말 연결기준 506%였던 부채비율은 2024년 말 1600%로 대폭 상승했다. 같은 기간 현금 및 현금성자산도 1819억 원에서 461억 원으로 4분의 1 토막이 났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조선혜지와이는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했을 뿐 아니라, 당기순손실로 전환했다. 유상감자가 회사 재무 사정과 무관하게 주주들의 이익만을 위해 이뤄졌다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이다.
MBK가 인수한 기업에서 배당이나 유상감자로 대규모 현금 유출이 빠르게 이뤄지는 경우는 최근 논란이 확산하고 있는 홈플러스 사례를 제외하더라도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2023년 MBK가 인수한 메디트는 2년 연속 적자에도 지난해 최대주주인 디지털덴티스트리솔루션홀딩스(MBK 소유 법인)에 약 900억 원을 배당으로 지급했다. 여기서도 회사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투자금 회수를 단행한 것이다.
또한 2023년 MBK가 인수한 오스템임플란트도 지난달 MBK 소유 법인인 덴티스트리인베스트먼트에 892억 원을 배당으로 지급했다. 지난해 오스템임플란트 당기순이익은 535억 원으로 전년 대비 66.5%나 감소하며 수익성에 큰 타격을 입었는데도 불구하고 최대주주인 MBK는 기업의 턴어라운드가 아닌 투자금 회수에 집중한 것이다.
이처럼 기업 인수 후 투자금 회수나 이자상환을 위한 자금 회수, 또는 지분 인수 과정에서 들어간 비용의 대납을 위해 외부로 현금을 유출하는 행태와 이로 인해 기업이 부실화되는 사태가 반복되면서 금융투자업계를 넘어 MBK에 대한 당국과 전국민적인 부정적 인식이 팽배하다. 과도한 차입매수와 기업 재무 사정을 고려하지 않은 투자금 회수, 인수한 기업이 유동성 부족을 겪는데도 자금 지원을 하지 않는 무책임한 행위 등으로 발생한 홈플러스 사태가 다른 기업에서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자금을 투자한 사모펀드 입장에서 투자금 회수는 당연한 일일 수 있지만, 인수한 기업의 유동성이나 재무구조, 실적 등을 감안하지 않고 단행하는 배당과 유상감자는 비판받을 수밖에 없다"며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M&A와 홈플러스 사태 등 MBK가 심한 무리수를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조선혜지와이 등기임원은 총 5명으로 창업자인 조선혜 대표이사를 제외하면 모두 MBK 인사로 꾸려져 있다. MBK의 이진하 파트너와 당효성 파트너, 차영수 매니징디렉터가 기타비상무이사를 맡고 있고, 천준호 매니징디렉터가 감사를 맡고 있다. 당 파트너를 제외한 인원 모두 조선혜지와이가 유상감자를 하기 전인 지난해 6월 선임됐다.
전시윤 기자 vli78@mtstarnews.com
ⓒ 스타뉴스 & starnewskore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사진=지오영 |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조선혜지와이는 지난해 약 2746억 원 규모의 유상감자를 단행해 그만큼의 자본이 감소했다. 유상감자는 자본의 일부를 주주들에게 현금으로 돌려주는 걸 말한다. 자본이 감소하기 때문에 부채비율이 상승하는 등 재무구조가 부실해질 우려가 있지만, 일종의 주주환원이라는 점에서 당장 주주 입장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주목되는 점은 유상감자 시기다. 조선혜지와이 법인등기에 따르면 유상감자로 인한 자본금 감소는 지난해 7월 초에 이뤄졌다. 지난해 7월 초면 MBK가 조선혜지와이 지분 71.6%를 취득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선 지 약 한 달이 지난 시점이다. MBK가 최대주주로 올라서고 MBK 인사들로 이사회 구성원이 바뀌자마자 유상감자로 약 2000억 원(2746억 원의 71.6%)을 회수했다고 여겨지는 대목이다.
문제는 대규모 유상감자로 조선혜지와이 재무구조가 더욱더 부실해졌다는 점이다. 2023년 말 연결기준 506%였던 부채비율은 2024년 말 1600%로 대폭 상승했다. 같은 기간 현금 및 현금성자산도 1819억 원에서 461억 원으로 4분의 1 토막이 났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조선혜지와이는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했을 뿐 아니라, 당기순손실로 전환했다. 유상감자가 회사 재무 사정과 무관하게 주주들의 이익만을 위해 이뤄졌다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이다.
MBK가 인수한 기업에서 배당이나 유상감자로 대규모 현금 유출이 빠르게 이뤄지는 경우는 최근 논란이 확산하고 있는 홈플러스 사례를 제외하더라도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2023년 MBK가 인수한 메디트는 2년 연속 적자에도 지난해 최대주주인 디지털덴티스트리솔루션홀딩스(MBK 소유 법인)에 약 900억 원을 배당으로 지급했다. 여기서도 회사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투자금 회수를 단행한 것이다.
또한 2023년 MBK가 인수한 오스템임플란트도 지난달 MBK 소유 법인인 덴티스트리인베스트먼트에 892억 원을 배당으로 지급했다. 지난해 오스템임플란트 당기순이익은 535억 원으로 전년 대비 66.5%나 감소하며 수익성에 큰 타격을 입었는데도 불구하고 최대주주인 MBK는 기업의 턴어라운드가 아닌 투자금 회수에 집중한 것이다.
이처럼 기업 인수 후 투자금 회수나 이자상환을 위한 자금 회수, 또는 지분 인수 과정에서 들어간 비용의 대납을 위해 외부로 현금을 유출하는 행태와 이로 인해 기업이 부실화되는 사태가 반복되면서 금융투자업계를 넘어 MBK에 대한 당국과 전국민적인 부정적 인식이 팽배하다. 과도한 차입매수와 기업 재무 사정을 고려하지 않은 투자금 회수, 인수한 기업이 유동성 부족을 겪는데도 자금 지원을 하지 않는 무책임한 행위 등으로 발생한 홈플러스 사태가 다른 기업에서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자금을 투자한 사모펀드 입장에서 투자금 회수는 당연한 일일 수 있지만, 인수한 기업의 유동성이나 재무구조, 실적 등을 감안하지 않고 단행하는 배당과 유상감자는 비판받을 수밖에 없다"며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M&A와 홈플러스 사태 등 MBK가 심한 무리수를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조선혜지와이 등기임원은 총 5명으로 창업자인 조선혜 대표이사를 제외하면 모두 MBK 인사로 꾸려져 있다. MBK의 이진하 파트너와 당효성 파트너, 차영수 매니징디렉터가 기타비상무이사를 맡고 있고, 천준호 매니징디렉터가 감사를 맡고 있다. 당 파트너를 제외한 인원 모두 조선혜지와이가 유상감자를 하기 전인 지난해 6월 선임됐다.
전시윤 기자 vli78@mtstarnews.com
ⓒ 스타뉴스 & starnewskore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