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탈코리아] 정부가 이태원 참사 이튿날인 10월30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압사’라는 단어를 빼고 ‘이태원 사고’라는 용어를 쓰기로 결정한 사실이 밝혀졌다.
더불어민주당 용산 이태원참사 국정조사특위 위원인 신현영 의원이 7일 공개한 자료를 보면, 박향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10월30일 오후 복지부와 중앙응급의료상황실과 소방·응급의료기관·지자체 관계자 등이 모인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모바일 상황실’)에 “오늘 대통령 주재 회의 결과 이태원 압사 사건을 ‘압사’ 제외하고 ‘이태원 사고’로 요청드린다”고 공지했다.
서울 재난인력 관계자는 이에 “이태원 사고로 변경하겠다”고 답하고, 박 정책관은 “감사하다”고 적었다. 실제로도 30일 오후부턴 대통령실이나 정부의 이태원 참사 관련 브리핑에서 ‘압사’라는 단어가 사라진다.
정부는 앞서 국무총리실의 지시로 정부가 ‘이태원 참사’를 ‘이태원 사고’로, ‘희생자와 피해자’를 ‘사망자와 부상자’로 통일해 쓰라는 지침을 내려 참사 축소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사진=뉴시스
더불어민주당 용산 이태원참사 국정조사특위 위원인 신현영 의원이 7일 공개한 자료를 보면, 박향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10월30일 오후 복지부와 중앙응급의료상황실과 소방·응급의료기관·지자체 관계자 등이 모인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모바일 상황실’)에 “오늘 대통령 주재 회의 결과 이태원 압사 사건을 ‘압사’ 제외하고 ‘이태원 사고’로 요청드린다”고 공지했다.
서울 재난인력 관계자는 이에 “이태원 사고로 변경하겠다”고 답하고, 박 정책관은 “감사하다”고 적었다. 실제로도 30일 오후부턴 대통령실이나 정부의 이태원 참사 관련 브리핑에서 ‘압사’라는 단어가 사라진다.
정부는 앞서 국무총리실의 지시로 정부가 ‘이태원 참사’를 ‘이태원 사고’로, ‘희생자와 피해자’를 ‘사망자와 부상자’로 통일해 쓰라는 지침을 내려 참사 축소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