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탈코리아] 김동윤 기자=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이하 선수협) 회장을 맡았던 이대호(38)가 최근 불거진 '판공비 셀프인상' 논란에 대해 입을 열었다.
지난 1일 SBS는 "이대호는 지난해 선수협 회장에 취임한 뒤 회장에게 배당된 판공비를 기존 3,000만 원에서 6,000만 원으로 '셀프 인상'해 개인 계좌를 통해 현금으로 지급받았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이대호는 2일 서울 강남구 청담동 리베라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해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대호는 해명에 앞서 "저의 판공비와 관련해 물의를 일으킨 점에 대해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고개를 숙이면서 "하지만 일부 언론의 보도와 사실이 다르다는 점이 있어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기자회견의 취지를 밝혔다.
이번 논란의 핵심 쟁점은 세 가지였다.
첫째, 셀프 인상...이대호 스스로 돈을 올렸다?
이대호는 '셀프 인상'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2019년 2월 스프링캠프 도중 진행된 선수협 회의에서 약 2년간 공석이던 회장을 선출하자는 의견이 나왔다"면서 "후보로 거론된 다수의 선수가 출마를 꺼렸고, 회장직 선출에 힘을 싣고자 회장 판공비 인상에 대한 의견이 모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9년 3월 18일 개최된 임시 이사회에서 판공비를 증액하자는 건의가 나왔고,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기존 연 판공비 2,400만 원에서 연 6,000만원으로 증액하는 것이 가결됐다"고 덧붙였다.
회장 선거는 판공비 인상이 가결된 다음 날부터 시작됐다. 2019년 3월 19일부터 21일까지 회장 선거가 진행됐고, 이대호는 "누가 당선될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었다. 내가 아닌 다른 선수가 당선됐다면 그 선수가 회장으로서 판공비를 받았을 것이다. 내 개인의 이익을 위해 스스로 인상한 것은 아니었다"고 얘기했다.
그렇다면 이대호가 본인이 될 것을 인지하고 판공비 증액을 건의했을까.
이대호는 "후배들은 나에게 '선배님이 회장을 맡아줬으면 좋겠다'고 말했었다"고 당시를 떠올리면서 "하지만 난 회장을 맡을 생각이 없었다. 롯데로부터 고액 연봉을 받았고, 성적을 위해 열심히 운동에 전념해야 했다. 그래서 이번 만큼은 빼줬으면 했다"면서 당시 심정을 밝혔다.
둘째, 개인계좌 입금 논란...판공비가 아닌 사실상의 급여라서?
이대호는 기자회견에서 '개인 계좌 입금'에 대한 의혹도 해명했다.
먼저 법인카드로 지급되지 않았던 이유. 선수협 법인카드는 선수협 사무총장과 직원들이 사용할 뿐 선수협회장은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선수협회장은 판공비 외에 별도로 지급되는 수당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대호의 개인 계좌로 돈이 지급된 것은 이것이 사실상의 선수협회장 급여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판공비'라는 건 선수협의 자의적 해석으로 그렇게 불렀을 뿐, 실제로는 회장의 급여라고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대호는 "선수협 역대 회장 및 이사진들에게 지급되는 비용은 이름은 판공비였으나, (실질적으로) 보수 및 급여로 분류돼 세금 공제 후 지급됐다. 이 관행이 문제가 된다면 조속히 바로잡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판공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선수협 회의 때 쓰는 경비 등에 쓰인다. 초과하는 금액은 사비를 썼다"고 덧붙였다.
이대호의 기자회견에 동석한 조민 변호사는 "판공비라면 일반적으로 세금 처리를 받지 않는다. 하지만 관례에 따라 세금 처리 후 받아왔고, 선수협 내부적으로도 급여로 인식해 처리했다. 이대호도 그렇게 알고 있었지만, 회장 취임 후 인수인계 절차가 부족해 시정되지 않았다. 다음 회장부터는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이대호의 주장에도 근거가 있지만, 선수협이 창설된 지 20년이 흐른 지금까지 이런 기본적인 부분에 대한 지적도 없이 어영부영 흘러온 것은 분명 아쉽다.
셋째, 과한 액수 논란...연 6천만원이나 필요한가?
논란이 불거진 후 연봉 25억 원을 받는 이대호가 판공비 6,000만 원을 수령한 것에 대해 액수가 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대호는 이에 대해 "이사회에서 판공비 인상을 건의하던 당시에 깊게 생각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고 사과의 뜻을 밝혔다.
이 부분은 무조건적인 비난보다는 발전을 위한 좀 더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해당 쟁점은 '연봉 25억'의 이대호가 '2군을 포함한 모든 프로야구선수의 연봉 1%가 모여 생긴 6,000만원'을 받는다는 데에서 불이 붙었다. 그러나 우선 선수협 회장이 급여를 받는 것이 합당한지와 선수들의 연봉 1%가 모인 판공비가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는 분리해서 볼 필요가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정해진 규정을 따랐다면 이대호의 연봉이 얼마가 됐든 선수협 회장으로서 급여를 받는 것 자체를 비난할 수 없다. 이대호뿐 아니라 어떤 선수에게든 고액 연봉을 받고, 힘이 있다는 이유로 책임을 강권하는 것은 급여가 아닌 선수협 회장으로서 선수들을 위해 힘을 써달라는 방향으로 이어져야 한다.
판공비 역시 이번 일을 계기로 재정의돼야 한다. 취지 자체는 '모든 선수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선수협 회장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연봉 1%를 모으자'는 좋은 의미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일을 통해 드러난 사실은 판공비가 어떻게 모이고, 쓰이는지 구체적으로 모르는 선수도 일부 있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내부적으로 판공비를 급여로 취급해왔다'는 흐리멍덩한 관례 대신 선수들의 동의가 뒷받침된 명확한 약관과 사실 고지가 필요하다.
사진=뉴시스
지난 1일 SBS는 "이대호는 지난해 선수협 회장에 취임한 뒤 회장에게 배당된 판공비를 기존 3,000만 원에서 6,000만 원으로 '셀프 인상'해 개인 계좌를 통해 현금으로 지급받았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이대호는 2일 서울 강남구 청담동 리베라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해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대호는 해명에 앞서 "저의 판공비와 관련해 물의를 일으킨 점에 대해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고개를 숙이면서 "하지만 일부 언론의 보도와 사실이 다르다는 점이 있어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기자회견의 취지를 밝혔다.
이번 논란의 핵심 쟁점은 세 가지였다.
첫째, 셀프 인상...이대호 스스로 돈을 올렸다?
이대호는 '셀프 인상'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2019년 2월 스프링캠프 도중 진행된 선수협 회의에서 약 2년간 공석이던 회장을 선출하자는 의견이 나왔다"면서 "후보로 거론된 다수의 선수가 출마를 꺼렸고, 회장직 선출에 힘을 싣고자 회장 판공비 인상에 대한 의견이 모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9년 3월 18일 개최된 임시 이사회에서 판공비를 증액하자는 건의가 나왔고,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기존 연 판공비 2,400만 원에서 연 6,000만원으로 증액하는 것이 가결됐다"고 덧붙였다.
회장 선거는 판공비 인상이 가결된 다음 날부터 시작됐다. 2019년 3월 19일부터 21일까지 회장 선거가 진행됐고, 이대호는 "누가 당선될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었다. 내가 아닌 다른 선수가 당선됐다면 그 선수가 회장으로서 판공비를 받았을 것이다. 내 개인의 이익을 위해 스스로 인상한 것은 아니었다"고 얘기했다.
그렇다면 이대호가 본인이 될 것을 인지하고 판공비 증액을 건의했을까.
이대호는 "후배들은 나에게 '선배님이 회장을 맡아줬으면 좋겠다'고 말했었다"고 당시를 떠올리면서 "하지만 난 회장을 맡을 생각이 없었다. 롯데로부터 고액 연봉을 받았고, 성적을 위해 열심히 운동에 전념해야 했다. 그래서 이번 만큼은 빼줬으면 했다"면서 당시 심정을 밝혔다.
둘째, 개인계좌 입금 논란...판공비가 아닌 사실상의 급여라서?
이대호는 기자회견에서 '개인 계좌 입금'에 대한 의혹도 해명했다.
먼저 법인카드로 지급되지 않았던 이유. 선수협 법인카드는 선수협 사무총장과 직원들이 사용할 뿐 선수협회장은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선수협회장은 판공비 외에 별도로 지급되는 수당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대호의 개인 계좌로 돈이 지급된 것은 이것이 사실상의 선수협회장 급여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판공비'라는 건 선수협의 자의적 해석으로 그렇게 불렀을 뿐, 실제로는 회장의 급여라고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대호는 "선수협 역대 회장 및 이사진들에게 지급되는 비용은 이름은 판공비였으나, (실질적으로) 보수 및 급여로 분류돼 세금 공제 후 지급됐다. 이 관행이 문제가 된다면 조속히 바로잡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판공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선수협 회의 때 쓰는 경비 등에 쓰인다. 초과하는 금액은 사비를 썼다"고 덧붙였다.
이대호의 기자회견에 동석한 조민 변호사는 "판공비라면 일반적으로 세금 처리를 받지 않는다. 하지만 관례에 따라 세금 처리 후 받아왔고, 선수협 내부적으로도 급여로 인식해 처리했다. 이대호도 그렇게 알고 있었지만, 회장 취임 후 인수인계 절차가 부족해 시정되지 않았다. 다음 회장부터는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이대호의 주장에도 근거가 있지만, 선수협이 창설된 지 20년이 흐른 지금까지 이런 기본적인 부분에 대한 지적도 없이 어영부영 흘러온 것은 분명 아쉽다.
셋째, 과한 액수 논란...연 6천만원이나 필요한가?
논란이 불거진 후 연봉 25억 원을 받는 이대호가 판공비 6,000만 원을 수령한 것에 대해 액수가 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대호는 이에 대해 "이사회에서 판공비 인상을 건의하던 당시에 깊게 생각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고 사과의 뜻을 밝혔다.
이 부분은 무조건적인 비난보다는 발전을 위한 좀 더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해당 쟁점은 '연봉 25억'의 이대호가 '2군을 포함한 모든 프로야구선수의 연봉 1%가 모여 생긴 6,000만원'을 받는다는 데에서 불이 붙었다. 그러나 우선 선수협 회장이 급여를 받는 것이 합당한지와 선수들의 연봉 1%가 모인 판공비가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는 분리해서 볼 필요가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정해진 규정을 따랐다면 이대호의 연봉이 얼마가 됐든 선수협 회장으로서 급여를 받는 것 자체를 비난할 수 없다. 이대호뿐 아니라 어떤 선수에게든 고액 연봉을 받고, 힘이 있다는 이유로 책임을 강권하는 것은 급여가 아닌 선수협 회장으로서 선수들을 위해 힘을 써달라는 방향으로 이어져야 한다.
판공비 역시 이번 일을 계기로 재정의돼야 한다. 취지 자체는 '모든 선수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선수협 회장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연봉 1%를 모으자'는 좋은 의미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일을 통해 드러난 사실은 판공비가 어떻게 모이고, 쓰이는지 구체적으로 모르는 선수도 일부 있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내부적으로 판공비를 급여로 취급해왔다'는 흐리멍덩한 관례 대신 선수들의 동의가 뒷받침된 명확한 약관과 사실 고지가 필요하다.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