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뉴스 | 박건도 기자]
중국은 이미 아시안컵에서 짐을 싼 지 오래다. 한국의 탈락이 반가운 듯 조롱 섞인 기사를 내놨다.
한국은 7일(한국시간) 카타르 알라이얀의 아흐메디 빈 알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요르단과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카타르 아시안컵 4강 맞대결에서 0-2로 졌다.
같은 날 중국 매체 '시나스포츠'는 한국의 경기 결과를 전하며 "한국과 요르단에는 기쁨과 슬픔이 가득하다"라며 "손흥민(토트넘 홋스퍼)의 눈에는 눈물이 고였다. 팀원들은 정신이 팔려있다. 위르겐 클린스만(60) 감독은 혼란스러운 듯 미소를 짓고 있다"라고 보도했다.
다소 조롱 섞인 문구도 남겼다. '시나스포츠'는 "한국은 이번 대회에서 끝내 요르단을 꺾지 못했다. 말레이시아와 비기기도 했다"라며 "비록 한국은 월드컵 예선에서는 승리할 수 있지만, 아시안컵에서는 절대 강팀이 아니다. 준결승에 진출할 때까지 정규시간 내 승리를 거둔 경기는 바레인전뿐이었다"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요르단전 경기력에 혹평을 쏟아냈다. '시나스포츠'는 "한국은 전반전 4개의 슈팅밖에 기록하지 못했다. 요르단은 12개를 퍼부었다. 후반전 35분까지 한국은 슈팅 1개를 추가하는 데 그쳤다"라고 했다.
졸전의 원인은 사령탑이라는 분석도 있었다. 해당 매체는 "클린스만 감독의 자리도 위태로워졌다. 그의 경기 후 태도는 뜻밖이었다"라며 클린스만 감독이 웃는 사진을 더했다. 한국은 요르단과 7번째 맞대결에서 역사상 첫 패배(3승 3무 1패)를 당했다. 요르단은 사상 첫 아시안컵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이미 중국 국가대표팀은 아시안컵에서 탈락한 지 오래다. 중국은 조별리그 3경기에서 무득점에 그치며 2무 1패 조3위로 탈락했다. 이미 중국 매체와 팬들은 자국 국가대표팀에 비판을 수없이 쏟아냈다. "사상 최악의 세대", "헤엄쳐서 중국으로 돌아와라"는 등 수위 높은 비난도 이어졌다.
한국의 탈락에 대해서는 "클린스만 감독은 미국 국가대표팀에서도 실패했다", "한국의 탈락 말고도 또 다른 이변은 중국이 아시안컵에서 무득점에 그쳤다는 것"이라는 반응들이 있었다.
64년 만의 아시아 정상을 자신했던 클린스만 감독은 4강 요르단전에서 졸전 끝에 패하며 체면을 구겼다. 한국은 이날 요르단을 상대로 단 한 개의 유효 슈팅도 기록하지 못했다. 요르단은 7번이나 한국 골문을 두들겼다 조현우(울산HD)의 선방에 번번이 한국을 위기에서 구했다.
주전 수비수 김민재(바이에른 뮌헨)가 경고 누적으로 경기에 나설 수 없었다고는 하나, 변명의 여지가 없는 감독의 전술 패착이었다. 이미 'ESPN'과 '디 애슬레틱' 등이 클린스만 감독 전술에 의문을 수차례 던진 바 있다.
토너먼트 진출 후에도 가시밭길이었다. 한국은 16강 사우디아라비아전은 승부차기 끝에 이겼고, 8강 호주와 경기에서는 후반 막바지와 연장 전반 연속골 덕에 2-1로 신승했다. 끝내 힘이 빠졌던 한국은 아시안컵 조별리그에서 만났던 요르단과 재대결에서 참패했다.
박건도 기자 pgd15412@mtstarnews.com
ⓒ 스타뉴스 & starnewskore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7일 요르단과 준결승 경기 패배 후 미소 짓는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 /사진제공=뉴스1 |
한국은 7일(한국시간) 카타르 알라이얀의 아흐메디 빈 알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요르단과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카타르 아시안컵 4강 맞대결에서 0-2로 졌다.
같은 날 중국 매체 '시나스포츠'는 한국의 경기 결과를 전하며 "한국과 요르단에는 기쁨과 슬픔이 가득하다"라며 "손흥민(토트넘 홋스퍼)의 눈에는 눈물이 고였다. 팀원들은 정신이 팔려있다. 위르겐 클린스만(60) 감독은 혼란스러운 듯 미소를 짓고 있다"라고 보도했다.
다소 조롱 섞인 문구도 남겼다. '시나스포츠'는 "한국은 이번 대회에서 끝내 요르단을 꺾지 못했다. 말레이시아와 비기기도 했다"라며 "비록 한국은 월드컵 예선에서는 승리할 수 있지만, 아시안컵에서는 절대 강팀이 아니다. 준결승에 진출할 때까지 정규시간 내 승리를 거둔 경기는 바레인전뿐이었다"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요르단전 경기력에 혹평을 쏟아냈다. '시나스포츠'는 "한국은 전반전 4개의 슈팅밖에 기록하지 못했다. 요르단은 12개를 퍼부었다. 후반전 35분까지 한국은 슈팅 1개를 추가하는 데 그쳤다"라고 했다.
![]() |
경기 후 조규성(왼쪽)을 위로하는 이강인. /사진제공=뉴스1 |
![]() |
벤치에서 얼굴이 일그러진 황희찬. /사진제공=뉴시스 |
이미 중국 국가대표팀은 아시안컵에서 탈락한 지 오래다. 중국은 조별리그 3경기에서 무득점에 그치며 2무 1패 조3위로 탈락했다. 이미 중국 매체와 팬들은 자국 국가대표팀에 비판을 수없이 쏟아냈다. "사상 최악의 세대", "헤엄쳐서 중국으로 돌아와라"는 등 수위 높은 비난도 이어졌다.
![]() |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7일 요르단과 아시안컵 4강 경기 후 손흥민을 안아주고 있다. /사진제공=뉴스1 |
64년 만의 아시아 정상을 자신했던 클린스만 감독은 4강 요르단전에서 졸전 끝에 패하며 체면을 구겼다. 한국은 이날 요르단을 상대로 단 한 개의 유효 슈팅도 기록하지 못했다. 요르단은 7번이나 한국 골문을 두들겼다 조현우(울산HD)의 선방에 번번이 한국을 위기에서 구했다.
주전 수비수 김민재(바이에른 뮌헨)가 경고 누적으로 경기에 나설 수 없었다고는 하나, 변명의 여지가 없는 감독의 전술 패착이었다. 이미 'ESPN'과 '디 애슬레틱' 등이 클린스만 감독 전술에 의문을 수차례 던진 바 있다.
토너먼트 진출 후에도 가시밭길이었다. 한국은 16강 사우디아라비아전은 승부차기 끝에 이겼고, 8강 호주와 경기에서는 후반 막바지와 연장 전반 연속골 덕에 2-1로 신승했다. 끝내 힘이 빠졌던 한국은 아시안컵 조별리그에서 만났던 요르단과 재대결에서 참패했다.
![]() |
요르단과 준결승 경기 후 바닥에 앉아 아쉬워하는 손흥민. /사진제공=뉴스1 |
박건도 기자 pgd15412@mtstarnews.com
ⓒ 스타뉴스 & starnewskore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