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뉴스 | 김혜림 기자]
홈플러스 사태를 낳은 MBK파트너스와 김병주 회장에 대한 정치권에서도 압박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김 회장이 투자자 서한을 통해 다시 한번 이번 사태에서 책임을 회피하려는 듯한 취지의 언급을 한 것으로 알려지자 정치권에서는 '안이한 발상'이라며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는 분위기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일 김 회장에 대해 "성사될 수도 없는 ABSTB 전액 변제 발표로 시장과 투자자를 교란시킨 것도 모자라 홈플러스 사태를 상당히 안이하게 보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며 "기다릴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구체적 사재출연 계획을 서둘러 발표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김 회장이 지난달 24일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이 언론에 약간의 잡음을 일으켰다(The Homeplus rehabilitation generated some noise in the press)"고 밝혀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하며, 정치권과 금융당국 등의 질타가 이어지고 있는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평가절하한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발언이다.
이는 특히 홈플러스 사태로 수많은 피해자가 발생한 것은 물론, 사기 혐의 등 사안이 확산하고 있는데도 공수표 성격의 사재출연 발언에 이어 안이한 인식까지 드러내면서 김 회장에 대한 비난의 화살이 거세지는 속에서 이번 발언이 알려졌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를 지켜본 한 업체 관계자는 "전국적인 비판의 목소리가 큰 데도 이를 언론 탓으로 돌리면서 이른바 국민 정서와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전형적인 '검은 머리 외국인'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실제 이날 민병덕 의원을 포함한 국회 정무위원회 야당 의원들은 2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김 회장을 향해 오는 10일까지 구체적 변제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진정성 없는 조건부 약속으로 국민을 기만하는 행태가 계속된다면 국회의 직무 유기이며, 국민의 권리를 저버리는 일이 될 것"이라며 "구체적인 재원 방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온 국민을 기만한 죄를 청문회를 통해 반드시 묻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와중에 김 회장에 대한 정치권과 여론의 압박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제는 홈플러스의 납품업체와 임대인, 채권 투자자, 채권 판매한 금융사 등이 일제히 피해를 호소하며 홈플러스 경영진을 고소까지 했는데도 정작 홈플러스 사태에 책임이 있는 최대주주의 회장은 이러한 투자에서 '불이익은 불가피하다'는 뉘앙스로의 발언했다는 점이다.
김 회장은 "우리의 모든 포트폴리오가 좋은 성과를 낸 것은 아니다"라며 "(홈플러스와 관련한) 여러 이해관계자 중 일부는 주주와 비교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우리는 알고 있지만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MBK와 홈플러스에 대한 금감원과 공정위, 금융위 나아가 고소고발에 따른 검찰의 수사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홈플러스 사태를 일으킨 MBK의 수장으로서 안이한 인식을 드러낸 것을 두고 공분이 일고 있다.
실제로 지난 1일 금융감독원은 MBK와 홈플러스를 조사한 결과를 일부 발표하며, 그들의 해명과 달리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준비하며 채권을 발행한 것으로 보인다는 정황을 포착했다고 설명했다. '사기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 것이다.
김 회장은 수개월째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M&A에 대해서도 차입매수 방식에 대한 비판과 기술유출 우려, 해외매각 가능성, 검은머리 외국인 논란, 중국자본 논란 등 숱한 논란에는 눈을 감은 채 '언론 탓'을 하는 무책임한 행태를 이어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혜림 기자 khr0731@mtstarnews.com
ⓒ 스타뉴스 & starnewskore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장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MBK-홈플러스 기업회생신청 관련 야3당 정무위원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일 김 회장에 대해 "성사될 수도 없는 ABSTB 전액 변제 발표로 시장과 투자자를 교란시킨 것도 모자라 홈플러스 사태를 상당히 안이하게 보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며 "기다릴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구체적 사재출연 계획을 서둘러 발표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김 회장이 지난달 24일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이 언론에 약간의 잡음을 일으켰다(The Homeplus rehabilitation generated some noise in the press)"고 밝혀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하며, 정치권과 금융당국 등의 질타가 이어지고 있는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평가절하한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발언이다.
이는 특히 홈플러스 사태로 수많은 피해자가 발생한 것은 물론, 사기 혐의 등 사안이 확산하고 있는데도 공수표 성격의 사재출연 발언에 이어 안이한 인식까지 드러내면서 김 회장에 대한 비난의 화살이 거세지는 속에서 이번 발언이 알려졌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를 지켜본 한 업체 관계자는 "전국적인 비판의 목소리가 큰 데도 이를 언론 탓으로 돌리면서 이른바 국민 정서와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전형적인 '검은 머리 외국인'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실제 이날 민병덕 의원을 포함한 국회 정무위원회 야당 의원들은 2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김 회장을 향해 오는 10일까지 구체적 변제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진정성 없는 조건부 약속으로 국민을 기만하는 행태가 계속된다면 국회의 직무 유기이며, 국민의 권리를 저버리는 일이 될 것"이라며 "구체적인 재원 방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온 국민을 기만한 죄를 청문회를 통해 반드시 묻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와중에 김 회장에 대한 정치권과 여론의 압박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제는 홈플러스의 납품업체와 임대인, 채권 투자자, 채권 판매한 금융사 등이 일제히 피해를 호소하며 홈플러스 경영진을 고소까지 했는데도 정작 홈플러스 사태에 책임이 있는 최대주주의 회장은 이러한 투자에서 '불이익은 불가피하다'는 뉘앙스로의 발언했다는 점이다.
김 회장은 "우리의 모든 포트폴리오가 좋은 성과를 낸 것은 아니다"라며 "(홈플러스와 관련한) 여러 이해관계자 중 일부는 주주와 비교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우리는 알고 있지만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MBK와 홈플러스에 대한 금감원과 공정위, 금융위 나아가 고소고발에 따른 검찰의 수사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홈플러스 사태를 일으킨 MBK의 수장으로서 안이한 인식을 드러낸 것을 두고 공분이 일고 있다.
실제로 지난 1일 금융감독원은 MBK와 홈플러스를 조사한 결과를 일부 발표하며, 그들의 해명과 달리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준비하며 채권을 발행한 것으로 보인다는 정황을 포착했다고 설명했다. '사기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 것이다.
김 회장은 수개월째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M&A에 대해서도 차입매수 방식에 대한 비판과 기술유출 우려, 해외매각 가능성, 검은머리 외국인 논란, 중국자본 논란 등 숱한 논란에는 눈을 감은 채 '언론 탓'을 하는 무책임한 행태를 이어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혜림 기자 khr0731@mtstarnews.com
ⓒ 스타뉴스 & starnewskore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