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RTALKOREA] 민진홍 기자= 알렉스 퍼거슨 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이하 맨유) 감독의 수석 코치였던 르네 뮈렌스틴이 ‘퍼기 타임’의 비밀을 밝혔다.
퍼거슨 전 감독 시절의 맨유는 경기 막판 극적인 득점으로 종종 승리를 따내며 ‘퍼기 타임’이라는 상징적인 단어를 만들어냈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맨유에서 퍼거슨과 함께했던 뮈렌스틴은, 극적인 순간의 골들이 단순한 우연이나 심판의 영향 때문이 아니라 모든 것이 철저한 훈련의 결과였다고 설명했다.

뮈렌스틴은 영국 ‘하이 퍼포먼스 팟캐스트’에 출연해 “사람들은 ‘퍼기 타임’이 그저 운이 좋은 상황이 아니냐고 묻지만, 우리는 그런 상황을 노린 훈련을 많이 했다. 예를 들어, 한 팀이 1-0으로 앞서 있고, 상대 팀은 정규 시간 10분에 추가 시간까지 합쳐 총 약 14분이 남은 상황이다. 이럴 때 전술적으로 어떤 부분을 바꿔야 할지 훈련한 것이다.”
또한 선수들은 경기 종료 직전, 시간의 압박 속에서도 침착하게 최선의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훈련했다고 덧붙였다. “선수들에게 단순히 경기 시간이 줄어들고 있다는 생각 대신, 남은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자는 긍정적인 마인드를 심어주었다. 1분밖에 남지 않은 것이 아니라 60초나 남았다고 생각하도록 했다.”

'퍼기 타임'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순간은 2009년 맨체스터 더비다. 마이클 오언이 후반 추가 시간 6분에 결승골을 넣어 4-3 승리를 이끌었다. 직전에 맨시티가 동점골을 넣은 상황에서 나온 이 장면의 배경에도 ‘퍼기 타임’을 가정한 특훈이 있었다.
그 외에도 '퍼기 타임'에 터진 수많은 골이 있다. 특히 1999년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올레 군나르 솔샤르가 터뜨린 결승골, 1993년 셰필드 웬즈데이전에서 스티브 브루스가 터뜨린 리그 우승을 확정 짓는 골, 그리고 2009년 애스턴 빌라전에서 페데리코 마체다가 터뜨린 극적인 골 등이 대표적이다.
‘퍼기 타임’이 단순한 운이 아닌, 치열한 준비와 철학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입증된 셈이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퍼거슨 전 감독 시절의 맨유는 경기 막판 극적인 득점으로 종종 승리를 따내며 ‘퍼기 타임’이라는 상징적인 단어를 만들어냈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맨유에서 퍼거슨과 함께했던 뮈렌스틴은, 극적인 순간의 골들이 단순한 우연이나 심판의 영향 때문이 아니라 모든 것이 철저한 훈련의 결과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선수들은 경기 종료 직전, 시간의 압박 속에서도 침착하게 최선의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훈련했다고 덧붙였다. “선수들에게 단순히 경기 시간이 줄어들고 있다는 생각 대신, 남은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자는 긍정적인 마인드를 심어주었다. 1분밖에 남지 않은 것이 아니라 60초나 남았다고 생각하도록 했다.”

'퍼기 타임'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순간은 2009년 맨체스터 더비다. 마이클 오언이 후반 추가 시간 6분에 결승골을 넣어 4-3 승리를 이끌었다. 직전에 맨시티가 동점골을 넣은 상황에서 나온 이 장면의 배경에도 ‘퍼기 타임’을 가정한 특훈이 있었다.
그 외에도 '퍼기 타임'에 터진 수많은 골이 있다. 특히 1999년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올레 군나르 솔샤르가 터뜨린 결승골, 1993년 셰필드 웬즈데이전에서 스티브 브루스가 터뜨린 리그 우승을 확정 짓는 골, 그리고 2009년 애스턴 빌라전에서 페데리코 마체다가 터뜨린 극적인 골 등이 대표적이다.
‘퍼기 타임’이 단순한 운이 아닌, 치열한 준비와 철학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입증된 셈이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